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 Distance |
---|---|
Loading... |
41억 년 전 생물의 존재를 암시하는 지르콘,백악기 공룡 대멸종의 실마리 이리듐,눈덩이 지구의 증거 다이어믹타이트...지구와 우주의 25가지 조각으로 풀어낸 지질과 생명의 수수께끼!시작은 단순한 호기심이었다. 1970년대, 월터 앨버레즈라는 젊은 지질학자는 이탈리아 구비오 근처에서 백악기 말기와 신생대 초기(팔레오세)에 걸친 두꺼운 석회암층을 기재하고 있었다. 그의 연구 주제는 공룡과는 전혀 관계가 없었다. 하지만 석회암 속에서 뚜렷하게 보이는 짙은 색의 점토층을 발견했을 때, 혹시 여기에 백악기 대멸종의 단서가 있는지 궁금해졌다. 희귀 원소인 이리듐을 측정했고,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이리듐은 그저 장기간 축적되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는 양보다 훨씬 많았다. 이를 어떻게 설명할지 궁리하던 그는 다음과 같은 생각에 도달했다. 만약 그 이리듐이 대부분 우주에서 왔다면?마침내 계산을 통해, 지름 10~15킬로미터의 소행성이 백악기 말 지구에 부딪혔음을 알아냈다. 이로써 '무엇이 공룡들을 죽였는가?'라는 수수께끼도 해결됐다. TNT 1억 메가톤의 에너지를 지닌 이 소행성의 충돌로 인해 발생한 먼지구름이 지구 대기를 가득 채웠고, 태양빛이 차단되어 먹이사슬이 바닥부터 붕괴된 것이다. 사람들이 귀가 닳도록 들어온 '우주에서 바윗덩어리가 날아왔으며 그걸로 끝'이라는 대멸종 시나리오가 이렇게 만들어졌다. 많은 지질학자가 사건 종결을 선언했지만, 화석 기록은 시나리오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고 말한다. 정답은 무엇일까? 이 논쟁은 처음 시작된 이래로 4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그라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생물학자이자 지질학자인 도널드 R. 프로세로는 『지구 격동의 이력서, 암석 25』에서, 응회암부터 빙하표석까지 오늘날 이 땅을 이루는 중요한 암석과 그것을 만들어낸 지질현상을 탐구한다. 더불어 이와 관련된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살피면서 지구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보여주며, 지질학의 발전을 이끈 과학자들의 이야기까지 담는다. 모든 암석에는 약 50억 년 전부터 끊임없이 변화해온 지구의 흔적이 고스란히 새겨져 있다. 이 책은 지구의 격동, 그리고 이를 탐구하는 과학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지질학 입문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