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은 왜 잘하는가

ebook

By 존 캠프너

cover image of 독일은 왜 잘하는가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Libby_app_icon.svg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app-store-button-en.svg play-store-badge-en.svg
LibbyDevices.png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 『선데이 타임스』 베스트셀러
  • 2020 『가디언』 선정 올해의 책
  • 2020 『이코노미스트』 선정 올해의 책
  • 2020 『뉴스테이츠먼』 선정 올해의 책
  • 2021 『더 타임스』 선정 최고의 논픽션영국인이 독일을 극찬한다고?믿기 힘들겠지만, 이 책은 자존심 센 영국인이 독일을 극찬하는 책이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수도 런던이 공습당하고, 오늘날 정치와 경제는 물론 축구 경기에서까지 끊임없이 부딪치는 <독일>을 영국인이 칭찬한다니, 더구나 영국 현지에서 베스트셀러에까지 올랐다니 좀처럼 믿기 힘들다. 하지만 저자가 20대부터 동서독을 오가며 특파원으로 활동한 베테랑이자, 대중의 폭넓은 지지를 받는 언론인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뼈아픈 과거에서 배운 교훈, 품위 있는 민주주의와 공동체 의식, 문화를 존중하고 시민의 안전한 생활을 책임지려는 리더십....... 캠프너는 전후 75년간 현대 독일의 놀라운 변화를 분석하며 한 미국 평론가의 말을 빌려 <오늘날의 독일은 세상이 봐왔던 최고의 독일>이라고 치켜세운다. 전범국이라는 뼈아픈 역사를 지닌 나라가, 심지어 동서독의 분단 체제를 극복하고 <기억의 힘>을 통해 성숙한 국가로 나아가는 모습은 <기적>이란 표현이 과도하지 않다. 오늘날 전 세계가 포퓰리즘 정치에 시달리고 코로나19 팬데믹과 경제 위기로 시름하는 와중에도 독일만큼은 정치와 경제, 문화 등 전 부문에서 안정된 성장세를 보여 주고 있다. 캠프너는 유럽을 넘어, 이제 세계의 모범국으로 떠오른 독일의 힘이 무엇인지 현대 독일의 정체성을 만든 네 번의 결정적인 시기(1949년 <기본법> 제정, 1968년 68혁명, 1989년 동서독 통일, 2015년 난민 수용 결정)를 들여다보며 그 비밀을 쫓는다. 특히 직접 체험한 독일에서의 삶과 독일인들(정치인, CEO, 예술가, 난민 문제 활동가와 평범한 사람들)과의 솔직한 대화를 통해, 독일 사회의 경쟁력과 회복력을 흥미진진하게 담아낸다. 규칙에 대한 강박독일인에 대한 고정 관념으로 유독 강조되는 것이 <규칙에 대한 강박>이다. 이 책은 몇 가지로 흥미로운 일화를 들려준다. 한번은 저자가 새벽 4시에 빨간불이 켜진 횡단보도를 건너다가 경찰관에게 딱지를 떼인 일이 있었다. 그는 <이 한적한 차로 에 앞으로 몇 시간은 차가 지나다닐 것 같지 않다>고 항변했지만, 소용없었다. 차가 다니든 안 다니든 <규칙은 규칙이다.> 또 다른 일화. 어느 화창한 일요일 점심시간, 저자는 아파트 발코니로 나와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록 음악을 듣고 있었다. 그때 뉴스 시간을 알리는 소리가 들리자 독일인 여자 친구가 라디오를 꺼버렸다. 그 시간이 루헤차이트(독일에서 의무적으로 조용히 해야 하는 시간)이고, 이웃집 노인을 배려해야 한다는 것. 저자는 독일인의 <규칙에 대한 강박>을 패전 후 잿더미(물질적·정신적으로 <제로>인 상태)에서 시작할 수밖에 없었던 사정에서 찾는다. 승전국 미국이나 프랑스, 영국 등이 <어제의 영광>을 바탕으로 국가의 정체성을 만들어 나갔다면, 패전국 독일은 <역사로부터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준거점이 거의 없었다.> 대신 그들은<절차에 대해, 즉 아무렇게나 하는 것이 아니라 똑바로 하는 것에 대해 열정적인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그 상징적인 작업이 1949년 임시 헌법(향후 통일 전까지)으로 만들어진, <세계적으로 위대한 헌법적 성취 중 하나>로 평가받는 <기본법>이다.독일은 <전후 자유 민주주의 체제에서 그 정체성과 안정, 자기 가치를 전적으로 법의 지배에 의존하고 있다>. 저자의 눈에 독일인의 애국심은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라기보다 <헌법에 대한 애국심>에 가깝다. 라이프치히에서 만났던 펑크족 뮤지션도 비슷한 얘기를 들려준다. 그는 독일인이 제일 두려워하는 건 <법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역>이라고 말한다. 그 영역에서 <강자가 약자를 착취>하는 일이 벌어진다는 것. <국가의 역할은 약자가 강자에 맞설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부자와 가난한 사람 사이의 균형을 새롭게 맞추는 것이어야 한다>고. 반항적인 차림의 펑크족이 한 얘기치고는 너무나 뜻밖이다. 독일이 잘하는 5가지 이유캠프너는 이 책에서 독일이 잘하는 5가지를 제시한다.첫째,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책임. 독일에서 홀로코스트의 존재를 부인하는 것은 불법 행위이고, 나치 상징을 착용하거나 관련 자료를 선전하는 행위는 금지된다. 심지어 학살된 유럽 유대인들을 위한 기념물이 베를린 중심부에 위치한 브란덴부르크 정문과 의사당 가까운 곳에 들어섰다. 어떤 나라가 수도의 랜드마크 바로 옆에 자신들의 치부를 기념하는 구조물을 세울 수 있을까? 사실 패전 직후에는 독일 사회 역시 속죄 의식을 찾아보기는 힘들었다. 그러나 1968년 학생 운동을 거치고,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의 흐름과 대중문화의 영향(NBC 미니시리즈 「홀로코스트」)으로 독일 내부에서 반성의 기류가 거세졌다(<아빠, 전쟁 때 무슨 일을 했어요?>). 이제 독일의 성숙한 지도자들이 앞장섰다. 그들은 상징적인 행동과 발언을 통해 독일의 침략의 역사를 사죄했다. 국내 보수 세력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독일의 도덕적 나침반을 지키는 일>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1970년 12월, 서독 총리 빌리 브란트가 바르샤바 게토 기념비 앞에서 무릎을 꿇었고, 1985년 나치 항복 40주년을 기념하는 의회 연설에서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대통령이 1945년을 굴욕의 날이 아닌 <자유의 날>로 선언했다. <죄가 있든 없든, 젊은이든 나이 많은 사람이든...... 거기에 책임을 져야 합니다.> 한편 2019년 12월, 아우슈비츠를 방문한 메르켈 총리는 과거 범죄를 기억하는 일을 두고 <절대 끝나지 않을 의무>이자, 그 책임을 인식하는 것을 <국가의 정체성의 일부>라고까지 했다. 오늘날 독일의 크고 작은 지역 사회에서 홀로코스트의 역사를 전시하는 기념관이 운용되고 있고, 학교에서는 <시민의 용기Zivilcourage>(국가의 불의에 대해 <아니오>라고 말할 용기)를 가르치고 있다. 저자는 젊은이부터 중년까지 많은 독일인들이 그들의 역사적 과오에 대해 거리낌 없이 대화하는 모습을 보고 놀랐다. <그들이 그렇게 하는 것은 과거에 연연해서가 아니라, 교훈을 배웠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같은 전범국인 일본 사회가 역사를 대하는 태도와 사뭇 대조적이다. 둘째, 이민 수용. 난민 위기가 한창이던 2015년,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이렇게 선언했다. <우리는 해결할 수 있습니다.> 2014년부터 2019년 7월까지 140만 명이 넘는 난민이 독일에서 망명 신청을 했고(유럽연합 전체의 절반에 해당한다), 독일은 백만 명에 달하는 전 세계 난민을 받아들였다. 며칠 동안 수백 명의 지역 주민이 뮌헨 중앙역에 모여들어 난민을 환영했다. 그들은 집의 문을 열어 <환영 저녁 식사>를 대접했다. 병원은 환자를 돌봐 주었고, 학교는 아이들을 받아들였다. <그것은 독일이 보여 준 최고의 모습이었다.> 그 결정은 <독일 지도자가 아니라 유럽 지도자로서 메르켈이 내린 결정>이었고, 세계에 새로운 독일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이 결정으로 메르켈 본인은 낮은 지지율에 시달리며 정치적 희생을 치러야 했다. 셋째, 환경에 대한 관심. 기후 변화라는 세계적 현안에 맞물려 반세기 앞선 독일의 환경 정책은 종종 선견지명으로 회자된다. 에너지 전환 작업을 일찍 시작한 덕분에 독일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재생 에너지 비율이 높고(현재 재생 에너지가 전기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퍼센트를 넘고, 그 비중을 2030년까지 65퍼센트, 2050년까지 80퍼센트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원자력 발전소도 단계적으로 폐기할 계획이다.
  • 독일은 왜 잘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