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투어023 서울 273번 버스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Campus Tour023 Seoul Bus No. 273 The Hitchhiker's Guide to Hall of knowledge)

ebook 캠퍼스투어(Campus Tour)

By 명화, 조

cover image of 캠퍼스투어023 서울 273번 버스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Campus Tour023 Seoul Bus No. 273 The Hitchhiker's Guide to Hall of knowledge)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KBS2 다큐멘터리 3일은 특정한 소재를 3일간 취재해 시간 순으로 보여주는 리얼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2007년부터 현재까지 방영 중입니다. 2012년 방영된 271회 '그래도 청춘이다 - 273번 버스의 3일'는 서울 강북을 순회하는 서울 273번 버스(Seoul Bus No. 273)를 소재로 다루었습니다. 중랑구 신내동과 홍대를 왕복하는 273번 버스는 한국외대(외대앞역)부터 경희대 서울캠퍼스, 서울시립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경영대학, 고려대 안암캠퍼스,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성균관대 인문사회과학캠퍼스, 한성대, 성신여대, 방송통신대학교 서울본부와 서울대 연건캠퍼스, 중앙대 평동 캠퍼스, 경기대 서울캠퍼스, 추계예술대학교, 이화여대, 연세대, 서강대 그리고 홍익대까지 열 곳이 넘는 대학교를 직간접적으로 경유합니다. 학생들의 등하교길을 책임지는 273번 버스는 통학 수단을 넘어서, 시험 때는 도서관으로, 집에 올 때는 데이트코스로 변모하는 마법의 공간입니다. 강북의 대학교를 잇는 노선이니만큼 승객의 대부분이 대학생, 교수, 교직원이며, 그래서 '청춘버스'란 낭만적인 별칭으로 불립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캠퍼스투어(Campus Tour)와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진리여행을! B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서울캠퍼스 : 광복 후 9년이 흐른 1954년, 한국외국어대학(Foreign Language College of Korea)으로 설립한 한국외국어대학교(韓國外國語大學校,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는 외국어에 특화된 '국내 최고의 외국어대학교'입니다. 한국예술종합학교(韓國藝術綜合學校,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한국방송통신대학교(韓國放送通信大學校,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韓國技術敎育大學校,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등과 비교해 보면 한국외대의 영문명 Hankuk(한국)은 대단히 독특한 표기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는 '우리말 한국(Hankuk)을 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한' 외대의 의지가 담긴 교명입니다. 한국외대의 영문 약칭은 HUFS(훕스)로 외대생은 훕산(HUFSan)! 부산에도 부산외국어대학교(釜山外國語大學校,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가 있으나, 두 곳 모두 국립대가 아닌 사립대로써 대학 간에 딱히 관계는 없습니다.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은 언어를 가르치는 대학교(45개) : 영어과, 불어과, 중국어과, 독일어과, 러시아어과를 시작으로 신규 언어를 꾸준히 증설해 왔으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언어를 배울 수 있는 교육기관'이자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은 언어를 가르치는 대학교'(45개)입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은 그냥 '통번역대학원'이라 불릴 정도로 대내외적으로 국내 최고의 통번역사 양성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통번역대학원은 전국의 모든 전문대학원을 합쳐도 200명 밖에 선발하지 않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통역과 번역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맹활약하는 전문가를 배출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외대 통번역대학원은 가장 역사도 길고(1979), 전공언어(영어,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도 8개로 가장 많습니다. 대한민국 세 번째! 이원화 캠퍼스(법률상 단일캠퍼스) : 외대 서울캠퍼스는 '회기3대학'이라 불리는 경희대, 서울시립대와 함께 서울 동대문구와 위치하며, 경기도 용인시의 글로벌 캠퍼스와 인천 송도의 송도 캠퍼스, 3곳의 캠퍼스를 갖추고 있습니다. 세 곳 모두 캠퍼스별로 학과가 상이한 '이원화 캠퍼스'(법률상 단일캠퍼스)입니다. 본교와 분교를 통합한 대학교는 외대가 경희대, 중앙대에 이어 세 번째(2014)로 서울캠퍼스는 어문학과와 인문, 사회계열을, 글로벌 캠퍼스는 이공, 자연계열을 중심으로 재편되었습니다. 유사학과의 폐지를 감수하고, 양 캠퍼스를 통합한 이유는 '재학생 1만명 이상의 대형 대학'으로 묶음으로써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성대학교(漢城大學校, Hansung University) : 한성(漢城)은 태조 이성계가 조선왕조를 개국하고, 북한 개경(開京)에서 현재의 서울로 수도를 이전하며 한양(漢陽)을 고쳐 부른 지명입니다. 한성부(漢城府)는 행정구역인 동시에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관청의 명칭으로, 한양(漢陽) 또한 대중적인 지명으로 공존하였습니다. 현재의 한성대학교는 광복 후 설립된 재단법인 한성학원이 한성여자대학(1972)을 개명한 것으로 1993년 종합대로 승격하였습니다. 여중, 여고 그리고 여대를 거쳐 남녀공학으로 바뀐 역사 덕분에 IT공과대학도 갖추고 있으나, 크리에이티브인문예술대학과 디자인대학이 강세를 보이며, 세분화된 트랙(Track)를 갖추고 있습니다. 행정대학원 마약알콜학과, 한성대 상상력인재학부는 매우 특이한 성격의 학과와 학부명을 자랑합니다. ...

캠퍼스투어023 서울 273번 버스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Campus Tour023 Seoul Bus No. 273 The Hitchhiker's Guide to Hall of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