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방주029 기독교 정신으로 건국한 대한민국(Knowledge's Ark029 Korea Christianity)
ebook ∣ 지식의 방주(Knowledge's Ark)
By 현군, 박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 Distance |
---|---|
Loading... |
"대한민국이 기독교의 도덕성과 헌신도에 유독 엄격한 것은 당연하다. 이는 '대한(大韓)'이라는 이름을 가진 민주공화국의 정체성을 지켜내기 위한 필연적인 몸부림이다" 필자가 내린 결론이다. 최근 2017년 대한민국과 한국교회는 명성교회 세습, 삼일교회 등 일부 스타 목사들의 부도덕한 처신, 한기총의 친박기도회, 종교인 과세 문제 등으로 한국사회의 거센 비판에 직면해 있다. 이와 관련 한국교회 내에서도 자성과 개혁을 위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그런데 이와 관련 필자는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의 이같은 관계를 보면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는 한국교회에 대해 왜 이렇게 주목하고 높은 관심을 보일까"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다. 사실 한국교회 개혁, 대형교회들에 대한 비판, 올바른 기독교신앙의 회복에 대한 목소리는 이미 20년 전부터 나온 이야기였다. 한국교회에 대한 비판 중 그 의도와 상관없이 받아들일 것은 수용하여 고쳐야 한다. 그러나 필자가 주목한 것은 한국교회에 대한 대한민국의 관심과 주목도가 불교, 천주교, 도고, 대종교 등 다른 종교들에 비해 특별히 크다는 점이다.실제로 헌금사용의 투명도, 세습화, 일부 목사들의 성적 타락과 막말 등 한국교회를 향한 이같은 비판의 아젠다들이 같은 내용으로 불교, 천주교, 대순진리교 등 여타 종교에 대해서는 여간해서 이슈화 되지 않고 있다. 이는 기독교 외 종교와 소속 성직자들이 건전하고 깨끗해서가 아니다. 필자가 취재활동을 하면서 접한 것들만 해도 기독교에 비해 차원이 경우를 여럿 접했었다. 다만 언론화와 사회이슈화가 되지 않았을 뿐이다. 즉 다른 종교들의 잘못, 비리, 공헌 등은 해당 종교의 일인 반면 기독교의 문제는 기독교 내부 문제가 아닌 대한민국 전체가 다뤄야 할 문제였던 것이다.대한민국 뿐만이 아니다. 한국교회도 동성혼 문제, 낙태 합법화 문제, 성매매 자유화 추진 등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높이며 촛불과 박근혜 파면을 계기로 대한민국의 주도권을 거머쥔 세력들과 강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그래서 더욱 궁금할 수 밖에 없었다. "과연 대한민국과 한국교회는 어떤 사이일까?" 대한민국은 헌법에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나라다. 필자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이지만, 불교, 천주교, 도교, 대순진리교, 통일교 등 다른 종교에 속한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자연스럽게 살아가고 있다. 그 것이 대한민국이다. 그런데, 그 중 필자가 속한 '기독교', 즉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구원을 받고 성경의 가르침대로 살아가는 이 종교는 대한민국 내에서 다른 종교와는 다른 특별한 지위를 가지고 있는 것 같았다. 그 것이 과연 무엇일까? 대한민국이라는 국가가 불교, 천주교 등과는 달리 유독 기독교의 개혁과 건전한 변화를 간절히 바라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 이 의문을 풀기 위해 필자는 대한민국의 건국과정과 정체성이 만들어지는 과정등에서부터 신중하게 살펴보게 됐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 대한민국 초대교회사 서적 등에서 슬쩍 넘어간 중요한 사실들을 새롭게 접하게 되었다. 고종황제가 조선과 대한제국의 부국강병을 구현하기 위해 기독교를 보호했고 고종황제가 독살된 후 기독교가 다른 종교 지도자들과 함께 3・1운동을 주도했으며, 고종을 정점으로 전 세계에서 항일투쟁을 이어나갔던 이승만, 안창호, 조용운 등 기독교 지도자들이 기독교 사상에 근거하여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세우고 독립운동을 주도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실제 대한민국의 헌법과 초기 보수 혹은 진보 이념은 모두 기독교사상 위에서 세워졌다. 반면 기독교정신인 만민평등사상 위에 자유・민주라는 가치를 왼쪽으로 벗어난(좌익) 공산주의와 오른쪽으로 벗어난(극우파) 친일파 및 한림당은 대한민국의 정체성에서 배제되었다. 즉 대한민국은 기독교단과 성직자에 의해 다르려지는 나라도 아니고, 불교와 유교 등 다른 종교도 자유롭게 믿고 선택할 수 있는 나라이지만, 한국교회는 대한민국의 도덕 규범의 기초를 제공하는 '심장'의 역할을 감당해 왔던 것이다.그러므로 스님, 신부님, 법사님의 도덕적 일탈 및 부정부패와 기독교 목사님의 도덕적 일탈에 대해 대한민국이라는 사회가 받아들이는 아픔이 다를 수 밖에 없다. 그런면에서 한국교회의 갱신과 개혁은 단순히 기독교계의 건전화나 변화가 아니라 심장병에 걸린 대한민국이 튼튼한 심장을 회복한다는 의미이다. 대한민국은 기독교의 정체성으로 세워진 온전한 그리스도의 나라로 출발했고 한국교회는 대한민국의 상식, 규범, 정체성을 지켜온 파숫꾼이었다.—목차/Index-지식의 방주(Knowledge's Ark)에 오르며추천사 및 시사N의 필진양성 프로젝트 : 시사N 윤준식 편집장01. 기독교로 세워진 나라이름 '大韓'01-1. 대한민국과 기독교01-2. 실학자들, 조선에 예수를 모시다01-3. 그리스도교 신앙의 자발적 수입02. 고종황제, 기독교로 조선 개혁을 꿈꾸다02-1. 기독교적 개혁이 싫어서 나라 넘긴 사대부들03. 대한제국, 기독교적 입헌군주국을 꿈꾸다03-1. 좌절된 기독교적 입헌군주국의 꿈03-2. 고종과 고종의 친위세력으로 구성된 애국진영03-3. 양반과 조정대신들로 구성된 매국진영03-4. 고종의 죽음으로 촉발된 자주독립운동03-5. 일제청산 후 자주국의 정체성 논의03-6. 양반계층 타도 명분으로 합의된 민주공화정04. 일제 36년 기독교 국가 '대한'의 체계를 만들다04-1. 한민족 국가에 대한 합의 근거가 된 고종의 사상적 교지04-2. 독립운동의 컨트롤타워 임시정부04-3. 대한민국 이념과 체제의 기틀을 잡은 기독교인 조소앙04-4. 독립운동과 일제청산 이후 국가체제 비전에 투영된 기독교04-5. 조소앙과 주기철 대한의 혼을 만들다04-6. 주기철, 죽음으로 '대한' 정신을 살리다05. 대한민국은 기독교국가다05-1. 한국교회, 교회개혁 넘어 '대한'을 바로세워야 05-2. 한국교회 속의 바알, 유교주의와 개인주의05-3. 한국의 진정한 종교개혁은 '대한'의 회복06. 그리스도의 온전한 제자도를 되살린 종교개혁06-1. 천년 만에 세상에 나온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06-1-1. 마틴 루터의 신학논쟁, 종교개혁의 불을 당기다06-1-2. 313년 '밀라노 칙령', 신앙의 자유를 잠깐 만끽하다06-2. 예수와 태양신을 헷갈린 로마황제, 교회를 암흑으로06-2-1. 밀라노 칙령과 콘스탄티누스의 신앙적 배경06-2-2. 카톨릭의 탄생, 암흑속으로 숨어들어간 기독교06-2-3. 테오도시우스 1세, 예수의 권위 찬탈을 모색하다06-2-4. 솔 인빅투스 사제파, 기독교의 교권 강탈하다지식의 방주(Knowledge's Ark) 도서목록(29)테마여행신문 TTN Korea 도서목록(395)테마여행신문 TTN Theme Travel News Korea는 2012년부터 450종 이상의 콘텐츠를 기획 및 출간한 디지털 콘텐츠 퍼블리셔(Digital Contents Publisher)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작가와 함께 신개념 여행 가이드북 원코스(1 Course), 여행에세이 별 헤는 밤(Counting the Stars at Night), 포토에세이 원더풀(Onederful) 등 다양한 여행 콘텐츠를 정기적으로 발행하고 있으며, 인문 교양서 지식의 방주(Knowledge's Ark)와 知의 바이블(Bible of Knowledge), 실용서 원샷(1 Shot)과 IT로켓(IT Rocket) 등도 꾸준히 선보이고 있습니다. '여행'에 관한한 국내 최고 & 최다 디지털 콘텐츠를 자랑하는 테마여행신문 TTN Korea와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지식여행하시길!테마여행신문 TTN Theme Travel 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