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 080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의 비밀의 화원(English Classics080 The Secret Garden by Frances Hodgson Burnett)
ebook ∣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By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
비밀의 화원(The Secret Garden)(1909)은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Frances Hodgson Burnett)의 3대 작품'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발표한 것으로, 전작에 비해 한결 성숙한 필력과 탄탄한 줄거리를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1910년부터 이듬해까지 아메리칸 매거진(The American Magazine)에 연재한 후 단행본으로 출간되었습니다. 인도에서 태어난 영국 요크셔 귀족 가문의 메리 레녹스(Mary Lennox)는 부모님을 잃고, 영국의 고모부 크레이븐 백작(Archibald Craven)의 보호를 받게 됩니다. 백작은 자신의 아내 릴리어스(Lilias Craven)와 정성껏 정원을 가꾸었으나, 불의의 사고로 그녀가 사망하자 홧김에 정원을 폐쇄하였는데.... 제목 비밀의 화원(The Secret Garden)은 여기서 유래한 것입니다. 우연찮게(?!) 열쇠를 발견한 메리는 황폐해진 정원의 잡초를 뽑고, 씨앗을 심으며 조막손으로나마 가꾸기 시작합니다. 점차 예전의 생명력을 되찾은 정원을 보며 백작 또한 서서히 자신의 슬픔을 극복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신분은 낮지만 믿음직한 딕콘 소어비(Dickon Sowerby), 버르장머리 없는 무녀독남 외아들 콜린 크레이븐(Colin Craven), 무뚝뚝하지만 따뜻한 정원사 벤 웨더스타프(Ben Weatherstaff) 등의 주변 인물과 어우러지는 과정이 생생하게 그려지지요! 결론은?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Frances Hodgson Burnett)의 소설답게 콜린 크레이븐(Colin Craven)이 자신의 병적인 히스테리를 극복하고, 건강을 회복한 가운데 크레이븐 백작(Archibald Craven)이 행복해하는 '해피엔딩'으로 마무리됩니다. 소설에 등장하는 미셀스웨이트 장원(Misselthwaite Manor)을 직접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1919년 파라마운트의 무성흑백영화를 시작으로 수차례 영화화되었으며, 비교적 최근인 2020년에도 영화로 제작된 바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If you look the right way, you can see that the whole world is a garden." "만약 여러분이 올바른 방향을 본다면, 여러분은 전 세계가 정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소공자(小公子, Little Lord Fauntleroy)(1886) : 1885년 잡지에 연재한 후 이듬해 단행본으로 출간된 소공자(小公子, Little Lord Fauntleroy)(1886)는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Frances Hodgson Burnett)의 이름을 세상에 알린 아동문학으로 '순수한 마음을 가진 어린이'가 '어렵게 살던 중에 자신의 높은 신분을 회복해 행복하게 살아간다'는 그녀 특유의 성공담 플롯을 제시한 작품이기도 합니다. 영국 백작가 가문에서 태어났으나, 미국 뉴욕에서 어머니와 단 둘이 살던 세드릭 에롤(Cedric Errol)은 '자신이 가문의 유일한 후계자'(아버지를 포함한 모든 형제가 사망)라는 이유로 할아버지 드린코트 백작(the Earl of Dorincourt)과 함께 살게 됩니다. 비록 영국으로 이주하였으나, 미국인 며느리를 못마땅해 하는 할아버지의 뜻에 따라 대저택 인근의 작은 집에서 영국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죠. 할아버지는 재정적으로는 부유하였으나, 고집이 세며 인색한 지주로 소작인들이 좋아할 수 없는 인물로 그려지는데, 이에 반해 세드릭은 주인공답게 착하고, 배려심 깊은 어진 인물로 묘사됩니다. 결론은? 할아버지가 결국 세드릭과 그의 어머니를 인정하며, '행복하게' 살았다는 뻔하지만 어린이 동화책다운 아름다운 엔딩으로 마무리됩니다. 주인공 세드릭은 그녀의 실제 아들인 비비안(Vivian) - 딸이길 바랬으나, 아들로 태어난 둘째 아들을 모델로 삼았다는 점에서 그녀의 애정이 한껏 담긴 책이기도 합니다. 소공자(小公子, Little Lord Fauntleroy)(1886)의 대중적인 성공으로 그녀는 '동화책 작가'로써의 명예와 함께 영미권에서 적잖은 인세를 벌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인기에 힘입어 직접 연극 대본 The Real Little Lord Fauntleroy을 썼습니다. "But only be good, dear, only be brave, only be kind and true always, and then you will never hurt any one, so long as you live, and you may help many, and the big world may be better because my little child was born. And that is best of all, Ceddie, — it is better than everything else, that the world should be a little better because a man has lived — even ever so little better, dearest." "하지만 선하고, 사랑하고, 용감하고, 항상 친절하고 진실해야 합니다. 그러면 살아있는 한 누구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을 것입니다. 많은 사람을 도울 수 있습니다. 아이가 태어났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무엇보다도, 세디(Ceddie), 다른 모든 것보다 낫습니다. 사람이 살았기 때문에 – 훨씬 더 나은, 사랑스런 세상이 조금 더 나아져야 합니다."소공녀(小公女, A Little Princess)(1888) : 1888년 잡지 St. Nicholas에 연재한 후 1905년 단행본으로 출간된 소공녀(小公女, A Little Princess)(1888)의 원제는 새라 크루 또는 민친 양 집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Sara Crewe or What Happened at Miss Minchin's)입니다. 세라 크루(Sara Crewe)는 주인공 여자아이의 이름이며, 미스 민친(Maria Minchin)은 세라양이 다니는 기숙학교 원장입니다. 현재의 제목 A Little Princess는 1903년 연극으로 각색하는 과정에서 붙여진 것으로, 일본에서 번안한 소공녀(小公女)와 함께 국내에 옮겨졌습니다. 주인공 세라 크루(Sara Crewe)는 인도에 파견 중인 영국 장교 랠프 크루(Ralp Crewe) 대령의 딸로, 영국에서 기숙사 생활을 시작합니다. 가장 좋은 방에서 생활할 정도로 풍족한 가문은 아버지의 죽음과 함께 몰락하게 되는데.... 우연찮게 인연을 맺게 된 이웃집 인도인 람 다스(Ram Dass)가 하필 아버지의 절친 캐리스포드(Carrisford)의 피고용인인 덕분에 아버지의 '숨겨진 재산'을 물려받게 됩니다. 학교에서 허드렛일을 하며, 다락방에서 공부하는 천애고아에서 다시금 소공녀(小公女, A Little Princess)가 된다는 플롯은 다만 전작의 남자아이가 여자아이로 바뀌긴 했습니다만 소공자(小公子, Little Lord Fauntleroy)(1886)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어린이들 – 특히 여자아이들의 지지에 힘입어 1917년부터 수차례 영화화되었습니다. 그녀의 작품은 특히 일본에서 인기가 많아 1985년에는 애니메이션으로, 비교적 최근인 2009년에는 드라마로 제작되었습니다. "Whatever comes," she said, "cannot alter one thing. If I am a princess in rags and tatters, I can be a princess insi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