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 054 이디스 워튼의 이선 프롬(English Classics054 Ethan Frome by Edith Wharton)
ebook ∣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By 이디스 워튼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
이선 프롬(Ethan Frome)(1911) : 이선 프롬(Ethan Frome)(1911)은 작가가 실제로 거주한 미국 매사추세츠의 가상의 마을 스타크필드(Starkfield)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야기입니다. 사업차 스타크필드를 방문한 화자(話者)는 다리가 불편한 현지 토박이 이선 프롬(Ethan Frome)을 일주일간 운전수로 고용하는데, 이를 통해 그의 삶에 대해 차츰 알아갑니다... 이선 프롬(Ethan Frome)(1911)은 실제 주인공 이선 프롬(Ethan Frome)의 삶의 이야기인 동시에, 아내 지나 피어스(Zeena Pierce)와 매티 실버(Mattie Silver) 사이에서 방황하는 삼각관계 로맨스입니다. 1993년 존 매든(John Madden) 감독의 영화로 제작되었습니다. 테이큰(Taken) 시리즈로 친숙한 리암 니슨(Liam Neeson)이 남자 주인공을 맡았습니다. 2021년 기준, 출간 110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There are lots of ways of being miserable, but there's only one way of being comfortable, and that is to stop running round after happiness. iF you make up your mind not to be happy there's no reason why you should't have a fairly good time." "불행해지는 방법은 많지만, 편안해지는 방법은 단 하나뿐입니다. 그것은 행복한 후에 주변을 뛰어다니는 것을 멈추는 거지요. 행복하지 않기로 마음먹었다면 좋은 시간을 보내지 말아야 할 이유가 없답니다."환락의 집(The House of Mirth)(1905) : The House of Mirth(1905)는 1905년부터 잡지 스크리프너(Scribner's Magazine)에 연재되어 호평 받은 소설로, 단행본으로 14만부가 판매되는 등 상업적으로도 성공한 이디스 워튼의 초기작입니다. 국내에는 '환락의 집' 혹은 '기쁨의 집'이란 제목으로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제목에서 연상되는 분위기가 무색하게 부유한 남자와 결혼해, 뉴욕의 상류층에 입성하고자 하는 미모의 여성 릴리 바트(Lily Bart)가 오히려 의도하지 않은 - 추문으로 인해 몰락하는 곤경에 처하는 과정을 적나라하게 그려내는 작품입니다. "As the pain that can be told is but half a pain, so the pity that questions has little healing in its touch. What Lily craved was the darkness made by enfolding arms, the silence which is not solitude, but compassion holding its breath." "말할 수 있는 고통은 고통의 절반에 불과하기 때문에, 질문에 대한 연민의 감정은 거의 치유되지 않습니다. 릴리(Lily)가 갈망했던 것은 팔을 포개어 만든 어둠과 외딴 고독이 아니라 숨죽인 동정심이었습니다."순수의 시대(The Age of Innocence)(1920) : 순수의 시대(The Age of Innocence)(1920)는 그녀에게 보수적인 미국 문단에서 여성 최초의 퓰리처상(Pulitzer Prize)을 안겨준 대표작이자, 당대의 베스트셀러입니다. 주인공 뉴랜드 아처(Newland Archer)는 같은 뉴욕 상류층 출신의 메이 웰란드(May Welland)와의 결혼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때 메이의 사촌언니 엘렌 올란스카(Ellen Olanska)가 유럽에서 돌아옴으로써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아처는 남편에게 의존하지 않는 당당한 엘렌에게 빠져들지만, 보수적인 뉴욕 상류층에서 이혼이란 결코 할 수 없는 선택이였고 무수한 고민 끝에 결국 메이와 결혼생활을 시작합니다. 이후 무려 26년의 시간이 흐른 후에야 아처는 사업차 방문한 프랑스 파리에서 엘렌이 살고 있는 아파트로 향하는데... 결국 그녀의 얼굴을 마주하지 못하고 돌아옵니다. 한 여자를 사랑하지만, 결국 그녀를 선택하지 못한 남주인공과 이혼녀란 굴레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자신의 길을 간 여주인공의 행보가 엇갈리는 결말은 많은 독자들의 가슴을 아프게 하였습니다. 그녀의 소설이 수차례 영화화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할 것입니다. 1924년부터 1934년과 1993년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다니엘 데이 루이스(Sir Daniel Day-Lewis), 미셸 파이퍼(Michelle Marie Pfeiffer) 그리고 위노나 라이더(Winona Ryder)가 주연한 마틴 스코세이지(Martin Charles Scorsese) 감독의 1993년판을 기억하시는 분들도 적지 않으실 것입니다. 1993년판은 넷플릭스에서 시청 가능. Archer received this strange communication in silence. His eyes remained unseeingly fixed on the thronged sunlit square below the window. At length he said in a low voice: "She never asked me." 아처(Archer)는 잠자코 기묘한 메시지를 들었습니다. 그의 시선은 창문 아래 붐비는 햇빛으로 반짝거리는 광장에 눈에 띄지 않게 고정되어 있었습니다. 마침내 그는 낮은 목소리로 말했습니다. "그녀는 나에게 부탁한 적이 없단다."작품의 내용과 별개로 순수의 시대(The Age of Innocence)란 제목은 그 자체로 매력적인데요, 이 때문에 소설과 무관하게 순수의 시대(The Age of Innocence)란 제목의 영화나 드라마가 제작되기도 했습니다. SBS 드라마 순수의 시대(2002)의 원제는 러빙유(Loving You)였으나, 비슷한 시기 방영된 MBC 드라마 로망스(2002)의 주제가 프로미스(Promise)에 러빙유(Loving You)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바람에 부득이하게 변경한 것입니다. 한국영화 순수의 시대(2015)는 조선이 건국한 직후를 배경으로 한 사극 로맨스입니다. 넷플릭스에서 시청 가능. 영문명은 Empire of Lust(욕망의 제국)로 다소 차이가 있네요. "The real loneliness is living among all these kind people who only ask one to pretend!" "정말로 외로운 것은 다른 이에게 그저 시늉만 해달라고 부탁하는 이 모든 친절한 사람들 사이에서 사는 것입니다!"레지옹 도뇌르 훈장(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 슈발리에(Chevalier) 등급(1916) : 레지옹 도뇌르(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 훈장은 프랑스의 정치∙경제∙문화 등의 발전에 공적이 있는 사람에게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훈장으로, 나폴레옹 1세가 1802년 새롭게 제정한 것입니다. 이디스 워튼(Edith Wharton)은 제1차 세계 대전(World War I)(1914~1918)이 발발하자, 프랑스 파리에서 직장을 잃은 여성들을 위한 사업장을 열었습니다. 수익보다는 여성들에게 약간의 수입을 제공하기 위한 복지 사업이였으나, 고용 인원을 늘려야 할 정도로 번창하였습니다. 전쟁을 피해 파리로 피난 온 벨기에 난민을 수용하기 위해 미국 호스텔을 설립하였으며, 그들을 위한 의식주는 물론 구직까지 알선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