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 032 잭 런던의 야성의 부름(English Classics032 The Call of the Wild by Jack London)
ebook ∣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By 잭 런던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
야성의 부름(The Call of the Wild)(1903) : 1896년 캐나다 북서부 유콘의 클론다이크에 금광이 발견됩니다! 미국 알래스카와 맞닿은 클론다이크로 10만 명의 광부가 금을 찾아 이주한 골드러시는 1899년까지 이어집니다. 이에 잭 런던은 여동생의 남편 세퍼드(Captain Shepard)와 함께 클론다이크 골드러시(Klondike Gold Rush)의 행렬에 야심차게 합류하지만, 대다수의 광부와 마찬가지로 금을 발견하지 못하고 다시 오클랜드로 돌아옵니다. 건강마저 심각하게 잃은 잭 런던은 이를 계기로 노동자가 아닌, '작가'로써 새로운 길을 개척하기 시작합니다. 클론다이크로 가기 전에 이미 일본 앞바다의 태풍(Typhoon Off the Coast of Japan)(1893)를 지역 매체에 싣고 상금을 받은 적이 있긴 하지만, 본격적으로 전업 작가를 선언한 후에는 천 명의 죽음(A Thousand Deaths)(1899)을 판매하고, 40불의 인세를 받은 것이 그가 최초로 글로 돈을 번 책입니다. 인쇄기술의 발달로 대중들은 재미있는 읽을꺼리를 필요로 했고, 단편에 능한 잭 런던은 끊임없이 소설을 발표하며 명성과 함께 적지 않은 수익을 벌 수 있었습니다. 1903년 그의 대표작 야성의 부름(The Call of the Wild)(1903)은 새러데이 이브닝 포스트(The Saturday Evening Post)와 맥밀란(Macmillan) 출판사에 수천달러에 팔렸고 이후 세계 각지에 판권이 팔린 대중 소설작가로 성공하게 됩니다. 야성의 부름(The Call of the Wild)(1903)은 작품의 인기에 힘입어 1923년부터 현재까지 수차례 영화와 드라마로 제작되었고, 해리슨 포드 주연의 콜 오브 와일드(2020)가 개봉하였을 정도로 '현재'까지 팔리는 꾸준히 팔리는 원작 소설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미다스의 노예들(The Minions of Midas)(1901) : 잭 런던은 사회주의에 심취하며 대자본을 증오하고, 노동자의 단합으로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자신의 철학을 몇몇 단편을 통해 묘사하였습니다. 비교적 최근인 2020년, 스페인에서 잭 런던의 단편 미다스의 노예들(The Minions of Midas)을 소재로 한 동명의 드라마를 발표하였으며, 넷플릭스에서 시청 가능합니다. 막대한 부를 가진 사장에게 5천만 달러를 입금하지 않으면 주기적으로 인명을 해치겠다는 의문의 편지가 날아오는데... 편지를 보낸 자의 정체는 끝까지 공개되지 않으나, 자칭 미다스의 노예들(The Minions of Midas)이라고 부릅니다. 바다 늑대(The Sea-Wolf)(1904) : 야성의 부름(The Call of the Wild)(1903)의 성공에 힘입어 이듬해 출간한 바다 늑대(The Sea-Wolf)(1904)는 무려 4만권의 초판이 매진되었을 정도로 다시 한번 흥행에 성공하였습니다. 샌프란시스코를 출발한 험프리 반 웨이든(Humphrey Van Weyden)이 해상 충돌 사건으로 조난을 당하고, 표류한 그를 물개 사냥선 선장 울프 라센(Wolf Larsen)이 구조하며 시작되는 모험 소설이지요. 선장 울프 라센(Wolf Larsen)은 잭 런던이 오클랜드의 Heinold's First and Last Chance Saloon에서 실제로 만난 실존 인물 알렉산더 맥린(Alexander McLean)을 바탕으로 창조한 캐릭터입니다. 원작의 흥행에 힘입어 1913년부터 십 회 이상 TV와 영화, 라디오 등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야성의 부름(The Call of the Wild)(1903)와 달리 동물이 등장하는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에, 영화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지요!흰 송곳니, 화이트팽(White Fang)(1906) : 1882년 창간된 아웃팅(The Outing Magazine)에 최초로 게제한 화이트팽((White Fang)(1906)은 야생에서 태어난 늑대개를 인간 주인공 그레이 비버(Gray Beaver)가 길들이는 과정을 캐나다 유콘을 배경으로 그려낸 모험 소설입니다. 늑대개의 이름이 바로 흰 송곳니, 화이트팽(White Fang)이지요. 잭 런던의 전작과 함께 크게 흥행하였으나, 늑대개와 불독의 대결은 많은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1925년부터 십 회 이상 영상화되었습니다. 존 발리콘(John Barleycorn)(1913) 분홍 코끼리를 보다(Seeing pink elephants) : 분홍 코끼리를 보다(Seeing pink elephants)란 영문 표현은 '극도로 술에 취한 사람이 환각을 본다'(a euphemism for drunken hallucination caused by alcoholic hallucinosis or delirium tremens)는 의미입니다. 잭 런던이 발표한 자전적 소설 존 발리콘(John Barleycorn)(1913)에서 유래하였으며, 동명의 영국 민요가 있습니다. 숙어의 뜻에서 짐작하듯 주인공 존 발리콘(John Barleycorn)은 술을 즐기는, 아니 알코올에 중독된 인물입니다. 원문은 술에 극도로 취하면 파란 쥐와 분홍 코끼리(blue mice and pink elephants)를 본다는 표현이였으나, 파란 쥐가 생략되고 분홍 코끼리(pink elephants)만이 남았습니다. 이같은 숙어 덕분에 미국에는 분홍 코끼리(pink elephants)란 상호의 술집이 제법 있습니다. 가볍게 칵테일 한잔 즐기는 곳은 아닐 듯 싶네요. There are, broadly speaking, two types of drinkers. There is the man whom we all know, stupid, unimaginative, whose brain is bitten numbly by numb maggots; who walks generously with wide-spread, tentative legs, falls frequently in the gutter, and who sees, in the extremity of his ecstasy, blue mice and pink elephants. He is the type that gives rise to the jokes in the funny papers.잭 런던 르뽀 - 조선사람 엿보기(La Corée en feu - Jack London reports)(1982) : 잭 런던은 1904년 러일전쟁(Russo-Japanese War)을 취재하는 종군기자(War correspondent)로써 일본 요코하마를 시작으로 광복 이전의 조선을 방문하였습니다. 일본 시모노세키와 만주국에서 체포되었으나, 미국 대사의 도움으로 풀려날 수 있었고 일본 제국군(Imperial Japanese Army)의 감시 하에 압록해전(Battle of the Yalu)을 취재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도난과 폭행 혐의로 다시 한번 체포되었고 결국 일본을 떠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당시의 경험담을 바탕으로 쓴 기사를 미국 San Francisco Examiner 프랑스어판에 게제하였고, 이를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 잭 런던의 조선사람 엿보기(La Corée en feu - Jack London reports)(1982)입니다. 우생학을 지지하는 백인우월주의자의 편협한 시각이란 단점이 있으나, 당대의 조선을 외부인의 시선으로 기록한 문헌으로써 가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