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 006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English Classics006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by Lewis Carroll)
ebook ∣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By 루이스 캐럴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소설은 무엇일까요? 흠... 선뜻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그러나,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동화'가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by Lewis Carroll)이란 것에는 많은 분들이 동의하실 겁니다. 원작 뿐 아니라, 수많은 애니메이션, 영화는 물론이거니와 연극, 뮤지컬, 전시회, 페스티벌 등 우리의 곁에서 숱하게 만날 수 있는 '어른이 더 좋아하는 동화'이니까요! 영문 원제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모험(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이지만, 일반적으로 약칭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로 불립니다. 작곡가 진은숙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오페라를 2007년 독일 바이에른 국립오페라 극장 무대에 올렸으며, 롯데백화점에서는 2019년 세계 각지에서 출간된 초판본을 모아 전시회를 열기도 했습니다. 어디 그 뿐일까요! 비교적 최근에 개봉한 조니 뎁(John Christopher "Johnny" Depp II)이 미친 모자장수(The Mad Hatter)로 출연한 영화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2010)과 거울 나라의 앨리스(Alice Through the Looking Glass)(2016)는 영화관에서 보신 분들이 적지 않으실 겁니다. 국내에서 각각 200만, 50만 관객을 돌파하였습니다. 지난 2015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150주년으로, 영국 체신청은 기념 우표 10종을 발간하였습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는 비단 동화의 범주를 넘어서,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다른 동화와 차별화되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가상의 세계를 소재로 다룬 영화 매트릭스(The Matrix)(1999), 매니아들이 열광하는 소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The Hitchhiker's Guide to the Galaxy)(1979) 등에는 모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와 관련한 코드 – 일명 떡밥이 무수하게 숨겨져 있습니다. 2020년에는 넷플릭스에서 만화 원작의 일본 드라마 아리스 인 보더랜드(Alice in Borderland)(2020)가 공개되었습니다. 아리스(アリス)는 앨리스의 일본식 발음으로, 원작자는 아소 하로(麻生羽呂), 원작명은 임종의 나라의 앨리스(今際の国のアリス)입니다. 동화가 아닌, 스릴러물입니다만 죽이지 않으면, 자신이 죽는 '가상 세계'를 다룬다는 점에서 유사점이 있네요.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뱃놀이하다가 탄생했다?!(1862) : 1862년 7월 4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1865)는 도지슨과 동료 교수 로빈슨 더크워스(Robinson Duckwork)이 학장의 세 딸 로리나(Lorina), 앨리스(Alice), 이디스(Edith)와 함께 템스 강 이시스(The Isis)에서 보트를 타던 중 탄생했다는....?! 믿기 힘든 전설의 동화입니다. 작품 자체도 유명하지만, 탄생부터 범상치 않죠! 작품도 재미있는데, 작품에 얽힌 이야기도 재미있으니 현재까지도 수많은 애독자들이 애정할 수 밖에 없다고나 할까요? 당시 보트를 함께 탄 인물들은 작품에 각기 다른 동물 캐릭터로 등장합니다. 첫째 로리나(Lorina Charlotte 'Ina' Liddell) = 앵무새(Lory), 둘째 앨리스(Alice Pleasance Liddell) = 주인공 앨리스(Alice), 셋째 이디스(Edith Mary Liddell) = 독수리(Eaglet), 작가 본인 = 도도새(Dodo), 로빈슨 더크워스(Robinson Duckwork) = 오리(Duck) 붉은 여왕 효과(Red Queen Effect)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1865)는 워낙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작품이기 때문에, 전혀 다른 분야에서 작품의 소재를 인용하기도 하였습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미국 시카고 대학 진화생물학자 리 밴 베일런(Leigh van Valen)이 명명한 붉은 여왕 효과(Red Queen Effect), 혹은 붉은 여왕 가설(Red Queen's Hypothesis)입니다. 'Now, here, you see, it takes all the running you can do, to keep in the same place. If you want to get somewhere else, you must run at least twice as fast as that!' '이제, 여기, 보시다시피, 한 곳에 머무르기 위해서는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이 필요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다른 곳으로 가고 싶다면, 여러분은 그것보다 적어도 두 배 빨리 뛰어야 합니다!' 거울나라의 앨리스에서 붉은 여왕(Red Queen)은 '한 곳에 머무르기 위해서는 뛰어야 하며, 다른 곳으로 가고 싶다면 더 빨리 뛰어야 한다'는 기묘한 이야기를 합니다. 이를 진화학에서 비유적으로 활용한 것이 바로 붉은 여왕 효과(Red Queen Effect)입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생명체는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이 진화란 경쟁에 뛰어 들어야 한다는 의미죠. 앨리스 증후군(Alice in Wonderland Syndrome) : 정체불명의 약을 마신 앨리스는 갑자기 커지고, 작아지는가 하면 길쭉해지는 기묘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이같은 앨리스의 착시에 착안해 앨리스 증후군(Alice in Wonderland Syndrome)이란 신조어가 신경학 분야에서 탄생하였습니다. 1955년 영국 외과의사 토드(John Todd)가 편두통과 간질환자의 특징으로 최초로 명명하였다네요. 모자장수(Mad Hatter)가 미친 이유는 수은중독?! : Mad as a hatter! 모자장수처럼 미친 놈! 영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2010)과 거울 나라의 앨리스(Alice Through the Looking Glass)(2016)는 어딘가 모르게 이상한 미친 모자장수(The Mad Hatter) 역을 맡은 조니 뎁(John Christopher "Johnny" Depp II)이 마치 주연(?!)인 것처럼 등장합니다. 그런데, 서구권에서 모자장수(The Mad Hatter)가 '미친 놈'의 대표적인 캐릭터인데는 현실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모자장인들은 대대로 전해져 오는 비방에 따라 자신의 소변을 즐겨 사용했는데, 그러던 중 매독에 걸려 수은을 복용하던 모자장인이 자신의 오줌이 직빵(?!)인 것을 발견하고, 가죽 손질하는데 수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합니다. 이 작업을 '당근 벗기기' 캐롯팅(Carroting)이라 부르는데, 당시에는 수은이 유독물질인 것을 몰랐기 때문에 수많은 모자장인들이 수은중독에 걸렸다고 하네요. 가볍게는 발음이 어눌해지지만 수운에 중독될수록 침을 질질 흘리고, 정신 착란이 오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모자장인 = 미친 놈'이란 공식이 생겼습니다. 영화에서 조니 뎁(John Christopher "Johnny" Depp II)의 의상, 소품에 유독 당근색이 자주 보이는 것은 바로 캐롯팅(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