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강의 노래

ebook

By 최시한

cover image of 조강의 노래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무릇 강이란 생명과 문화의 터전이다. 한국인이 이 거대하고 아름다운 강과 그 유역의 삶을 잃고 또 잊은 것은, 크나큰 상실이요 아픔이다" '외세 침략의 현장'이자 '분단의 상처'를 대표하는 곳, 조강!이곳에 얽힌 우리 역사의 '결정적 장면'을 '이야기'로 생생하게 되살려내다물은 모이고 만나 어울려 흐르다가 마침내 바다에 이른다. 〔......〕 한강은 서울을 지나 다시 '교하交河'(파주의 옛 이름)에서 임진강과 만나면서 서西로 향하고, 강화도 북쪽에서 또다시 예성강과 만난다. 헤아릴 수 없는 세월 동안 한반도의 허리에서 이어온 이들의 만남은 드넓은 땅과 풍부한 생명을 낳았고, 겨레의 삶을 살찌웠다. 역사가 소용돌이치고 문명이 혼탁을 더해도, 그 흐름은 결코 멈춘 적이 없다._본문에서2018년 4월 27일, 판문점을 넘어 이뤄진 남북 두 정상의 만남으로 한반도에 평화와 번영의 시대가 열리는 듯했다. 그러나 지난 2월 하노이 회담이 결렬되면서 남북관계는 급속히 냉각되었고 현재까지도 답보 상태에 빠져 있다. 이처럼 급변하는 정세에도 평화의 날, 만남의 그날이 오길 기다리며 묵묵히 흐르는 강江이 있다.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한 '조강'이 그것. 남과 북의 접경지대에 속하는 조강은, 분단 이후 잃어버린 '한강하구'의 다른 이름이다. "고구려, 신라, 백제 삼국이 서로 차지하려고 다투던" 곳, "고려의 수도 개경(개성)과 조선의 수도 한양"으로 향하는 물길이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에도, 한국전쟁 이후 우리 기억 속에서 사라져갔다. 바로 이곳, 우리 관심 밖에 있던 조강 권역에 주목한 책, 『조강의 노래』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이 강에 얽힌 우리 민족의 잊힌 역사와 문화를 복원하여 한강하구를 재발견하게 한다. 16세기 후반 조선 중엽부터 현대까지, 사료에 근거한 사실적 정보를 그대로 기술하기보다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그 상황을 인물과 사건으로 형상화("그려내어 되살림")하여 실감 나는 '이야기' 형태로 재창조한 것이 특징이다. 이로써 독자들이 흠뻑 빠져들어 과거 그 시대를 살았던 이들의 삶과 애환, 내면의 진실에 귀 기울이고 공감하게 한다.

조강의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