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 Distance |
---|---|
Loading... |
리멤버링 김지석(Remembering KIM Jiseok)부산영화제의 파수꾼, 아시아영화계의 큰 별 故 김지석 수석프로그래머의 기억을 더듬다故 김지석 수석프로그래머는 1996년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 창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고 이후 20년 이상 부산국제영화제 부집행위원장, 수석 프로그래머 등으로 활약하며 부산국제영화제를 아시아 대표 영화제이자 세계적인 영화제로 성장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한 한국 영화계의 중요한 인물이었다. 2014년 [다이빙벨] 상영에 따른 외압과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태 등으로 영화제가 위기에 내몰렸을 때도 영화제를 유지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했다. 그리고 그 와중이던 지난 2017년 5월, 칸 영화제 참석 중 우리 곁을 떠났다. 이 책은 그를 기리기 위해 지석영화연구소가 기획한 프로젝트의 결과물로, 그가 마지막 9년 동안 남긴 출장기와 메모들을 다듬어 묶은 것이다. 각국의 영화제, 나라별 영화계의 동향, 주목할 만한 영화와 작가, 그 밖의 수많은 그만의 단상이 빼곡하게 담겨있다. 이 책은 국내 영화인 뿐 아니라 세계의 영화인, 특히 아시아 영화인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던 고인의 발자취를 기념하기 위해 영문판으로도 동시 출간했다. 저자의 출장은 20대부터 시작되었다. 아르바이트로 모은 돈으로 해외의 많은 영화제를 돌아다녔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부산이라는 항구도시에서 국제영화제를 만들어야겠다는 꿈과 염원을 키웠다. 저자는 또한 끊임없이 영화를 보았다. 아무도 찾지 않는 미지의 영화를 찾아다녔고 뛰어난 기성작가와 잠재력 있는 신인의 행보를 주시했으며 기회가 될 때마다 진심 어린 피드백을 주었다. 그는 유명 영화인이든 아니든 평등하게 대했으며 언제나 청년의 열정으로 영화 발전에 대해 뜨겁게 토론했다. 그의 고집스러운 영화 철학과 태도는 부산국제영화제의 프로그래밍으로 이어져 아시아 최대 국제영화제를 탄생시켰다.그에겐 영화와 부산국제영화제가 인생의 전부였다. 지독한 고집으로 부산국제영화제의 의미와 방향을 유지해왔고 나름의 신념 아래 어떤 권력과 아첨에도 흔들리지 않으며 표현의 자유를 지켜냈다. 비록 그는 우리 곁을 떠났지만 많은 영화인들이 그를 애써 기억하려는 이유다. 저자의 출장기는 영화제 출범과 함께 시작되었기에 양이 매우 많다. 그래서 출장보고서가 확인 가능한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출장기만 우선 묶어서 펴내고, 나머지도 곧 이어서 출판할 예정이며 지석영화연구소는 장기적으로『김지석 선집』 출판도 계획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