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 워커, 이제 나를 위해 일합니다

ebook

By 박승오

cover image of 인디 워커, 이제 나를 위해 일합니다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자립을 꿈꾸는 직장인을 위한 커리어 수업

50년을 준비하는 커리어 전략

한때 회사가 울타리였던 적이 있었다. 회사에서 인정받고 고속 승진하는 삶, 조직에 충실한 대가로 정년을 보장받고 안정된 노년을 맞는 삶. 그러나 IMF 경제 위기, 다시 코로나19를 거치며 기존의 직장인의 삶에 큰 변화가 찾아왔다. 정규직은 점점 줄고, 대규모 구조조정이 상시화되었으며, 인공 지능에게 일자리를 내주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가 부상하면서, 인맥과 충성심에 의존하던 커리어 전략도 통하지 않는다. 기대 수명은 100세를 향해 가고 있는데, 50세 정년을 채우더라도 남은 50년을 무엇으로 먹고살 것인가?

시대가 바뀌면 직장인의 커리어 전략도 바뀌어야 한다. 『인디 워커, 이제 나를 위해 일합니다』는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고용 환경 변화에 도전받고 있는 직장인들을 위한 책이다. 전작 『위대한 멈춤』에서 평범한 사람들이 새롭게 인생을 시작하는 전환 도구를 고민했던 박승오, 홍승완 두 작가가 실제 10년 가까이 <슬로 커리어slow career>를 걸어 온 경험을 녹여 냈다. 이 책은 기존의 20대 후반에 입사해서 40대 후반 퇴직하는 <20년 커리어> 전략을 버리고, 20대 후반부터 70대까지 지속할 수 있는 <50년 커리어> 전략을 세울 것을 주문한다. 그 해법으로 제안하는 것이 <슬로 커리어>와 <인디 워커Indie Worker>이다. 회사 안에서 장기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차별적 전문성을 쌓고(슬로 커리어), 50세 퇴직 후에도 그 전문성으로 독자적인 사업을 이끌 수 있는 자립형 직업인(인디 워커)가 되라는 것이다.

이를테면, 광고인 박웅현이나 『90년생이 온다』의 저자 임홍택은 베스트셀러 작가이지만 여전히 월급을 받으며 직장인으로 일하고 있다. 광고인이었던 최인아는 퇴직 후 <최인아 책방>을 냈고, 기자였던 이나리는 여성 커리어 성장 플랫폼인 <헤이 조이스>를 창업했다. PR컨설팅사 출신인 김호는 <더에이치랩>을 설립하여 저술과 코칭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10년 이상 회사를 다니며 자신의 전문성을 심화했다.

회사는 더 이상 안전한 울타리도, 커리어의 종착지도 아니다. 50년 커리어 여정의 간이역이다. 내가 좋아하고 제일 잘하는 기술을 갈고 닦은 후 제2, 제3의 직업을 만들어 남은 50년을 준비해야 한다. <이제는 직장을 대하는 방식을 달리해야 한다. 회사를 다니는 동안 직장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직업을 만들어야 한다. 직장에서의 성공이 아니라 내 직업에서 성공하기 위해 직장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진지하게 연구해야 한다.>

패스트 커리어 vs. 슬로 커리어

슬로 커리어란 정확히 어떤 것인가? 패스트 커리어fast career가 <남들보다 빨라야 성공한다>는 산업화 시대의 산물이라면 슬로 커리어는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워라밸 문화와 관련이 깊다. 장기적이고, 지속적이며, 주체적이다. 패스트푸드를 떠올려 보면 이해가 쉽다. 패스트푸드가 건강과 미각을 해치는 것처럼, 패스트 커리어는 번아웃을 초래하고 삶의 균형을 무너뜨린다. 패스트푸드에 익숙해지면 자극적인 맛과 조미료에 중독되듯이 패스트 커리어는 승진, 연봉 등의 외적 보상에 집착하게 하며 결과적으로 직장인의 자존감을 낮춘다. 반면 슬로 커리어는 천천히 천직을 발견하고(장기적 관점), 그 일을 끊임없이 쇄신하며(지속성) 전문성을 획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얼마나 빨리, 높이 올라가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자신에게 충실하며 그 과정이 행복한지가 핵심이다(주체성). 저자들은 이제 <식습관을 넘어 우리의 직(職)습관을 바꿔야 할 때>라고 강조한다.

경제적인 면에서 보더라도, 슬로 커리어 전략은 설득력을 갖는다. 회사에서 억대 연봉을 받았어도 50세 퇴직 후 할 일이 없다면 인생의 평균 소득은 턱없이 낮아진다. 오히려 급여는 덜 받더라도 확실한 실력을 쌓아 퇴직 후에도 꾸준히 번다면 전체 소득이 훨씬 높다. 즉, 장기적인 관점에서 슬로 커리어로 성공할 가능성은 패스트 커리어보다 결코 낮지 않다.

그러나 오해는 금물이다. 슬로 커리어는 <조직 안>에서 실력을 닦는 전략이다. 일찌감치 회사를 관두고 독립하라는 얘기가 아니다. 무턱대고 직장을 박차고 나오는 건, 특히 가족이 있는 경우라면 현명한 선택이 아니다. 거꾸로 저자들은 <회사를 수련장 삼아> 전문성을 키우라고 주문한다. 돈을 벌면서 여러 가지 실험을 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회사는 매력적인 학교다. 다양한 역할을 맡으며 리더십을 훈련할 수도 있고, 협업을 배우고 비즈니스의 기본기를 익힐 수도 있다. 새로운 업무를 통해 자신의 또 다른 잠재력을 깨닫기도 한다.

인디 워커의 핵심 역량

저는 사색할 줄 압니다. / 저는 기다릴 줄 알며, 단식할 줄 압니다.

- 헤르만 헤세, 『싯다르타』

소설 『싯다르타』에서 주인공 싯다르타가 상인 카마스마비에게 면접을 볼 때 한 말이다. 세속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술은 하나도 몰랐던 수행자 싯다르타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사색하고, 기다리고, 단식하는 일뿐이었다. 그러나 저자들은 싯다르타의 이 말 속에 인디 워커의 핵심 역량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설명한다. 이 책의 2~4장에서 그 구체적인 실천 방법들이 제시된다.

인디 워커의 첫 번째 핵심 역량은 자신을 사색하는 능력이다. 먼저 자기 안의 재능(씨앗)과 강점(열매), 소망과 가치관 등을 탐색해야 한다. 자신의 재능이나 소망도 모르고 잠재력을 소모하는 직장인들이 의외로 많다. 두 저자는 책의 2장에서 재능을 알아보는 전문 검사와 도구들을 소개하고, 직업 가치와 방향성을 올바로 세우는 법을 알려 준다. <자신을 깊이 아는 사람은 결코 무너지는 법이 없다.>

인디 워커, 이제 나를 위해 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