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과 로컬리티

ebook

By 권순긍

cover image of 한국문학과 로컬리티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문학 속에서 지역과 자연은 배경으로, 또 주요한 소재로 등장해왔다. 지리적으로는 단순한 산과 강과 호수지만 옥소(玉所) 권섭(權燮, 1671~1759)의 많은 시가와 <황강구곡가(黃江九曲歌)>로 인해 청풍(淸風)의 자연은 새로운 생명을 얻었고, 제천의 대표적 명소인 의림지(義林池)는 임호(林湖) 박수검(朴守儉, 1629~1699)과 학고(鶴皐) 김이만(金履萬, 1683~1758)의 시로 인해 민(民)의 생활을 대표하는 상징으로 부각되었다. 문학은 자연을 통해 육신을 취했고, 자연은 문학을 통해 육신을 얻은 셈이다. 이들 문학적 상징은 제천이라는 구체적 현실 속에서 보아야만 제대로 읽힌다. 왜 의림지가 민(民)의 생활공간이라는 의미적 맥락을 지니는지는 지금도 농경을 가능케 하는 지역의 현실 속에서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저자가 20년 동안 제천 지역에 정착하여 제천의 문학과 지리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1부에서는 제천의 문학지리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특히 의림지와 청풍을 민(民)의 생활공간과 사대부(士大夫)의 풍류공간으로 구분하여 다루었다. 2부에서는 제천을 대표하는 네 명의 고전작가인 임호 박수검,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 1641~1721), 학고 김이만, 옥소 권섭을 다루었다. 3부는 한국문학의 로컬리티(locality)에 관한 글을 실었다. 대부분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지역성의 의미를 분석한 글로 한국 고전소설에서 유난히 중국 호남(湖南)지역이 많이 등장하는 이유와 근거를 밝히고, 고전소설 중 지리적 배경이 두드러지는 <배비장전(裵裨將傳)>에서 제주도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연구했다. 4부에서는 제천을 소재로 한 시가작품을 실었다. 옥소의 <황강구곡가>와 학고의 <어장사참사가>를 비롯하여 의림지와 청풍 한벽루를 노래한 작품 중에서 형상화가 뛰어난 작품을 뽑아 실었다.

한국문학과 로컬리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