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의 울음 - 상

ebook

By 손상익

cover image of 총의 울음 - 상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Libby_app_icon.svg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app-store-button-en.svg play-store-badge-en.svg
LibbyDevices.png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다시 써야 마땅한 대한민국의 개화기 역사 저자 손상익은 기자 출신으로 문화일보의 창간 멤버였으며, 1991년 '시사만화 고바우에 대하여'로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된 이후 10여 권의 책을 저술했다. 이번에 선보이는 '총의 울음'은 그가 5년간 자료조사와 집필과정을 거쳐 저술한 첫 소설이다. 역사소설 은 140여 년 전, 조선을 침입한 프랑스와 미국 함대를 물리친 옹골찬 범 포수들의 투혼을 그린다. 대원군의 쇄국정책이 빚은 비참한 패전으로 간주되었던 병인양요(1866)와 신미양요(1871). 그러나 미국은 오히려 신미양요를 전투에서 이기고 전쟁에서는 패한 '승리한 패전(Victorious Failure)'으로 기록하고 있다. 대한민국 개화의 여명기, 역사의 그늘에 묻힌 백두산 범 포수들의 처절한 항전과 조선의 위대한 승리를 다시금 조명한다. 조선의 최정예 부대, 백두산 범 포수! 임진왜란 때 일본의 '조총(鳥銃)'이 조선에 전해진 이후 화승총은 함경도와 평안도 범 포수들의 손에 들어갔다. 이후 범 포수들의 용맹함은 중국과 러시아에까지 그 명성을 떨쳤다. 17세기 중엽 효종 임금의 북벌 계획에서 주력 부대로 편성된 것이 화승총 부대와 범 포수 자원이었으며, 이들은 두 차례의 나선정벌(羅禪征伐: 1651-1654)로 흑룡강 유역에서 러시아 부대를 두 차례나 궤멸 상태로 몰고 갔다. 그때부터 조선의 군부는 백두산 범 포수들을 '최정예 조선군'으로 여겼다. 피보다 붉고 죽음보다 처절한 백두산 범 포수들의 항쟁 19세기 동아시아에 몰아닥친 서세동점의 기류를 타고 프랑스와 미국은 첨단 무기인 라이플과 거대 함포로 무장해 조선을 침공했다. 이미 영국이 아편전쟁으로 청나라를 점령하고, 미국의 페리 제독이 일본을 침략해 강제화친을 맺은 이후였다. 그러나 조선을 침략한 프랑스와 미국은 커다란 난관에 부딪혔다. 아무리 함포와 라이플을 쏘아대도 죽을지언정 항복하지 않는 이상한 부대를 만난 것이다. 바로 그들이 강화도에 배치된 백두산 범 포수 부대였다. 항복보다는 차라리 죽음을 택하겠노라며 발사한 범 포수 부대의 화승총 총성은 그야말로 피와 눈물이었다. 서양 군대의 라이플에 비하면 딱총보다 못했던 화승총이었지만, 범 포수의 기개는 침략군을 질리게 만들었다. 물러나지 않는 조선군을 계속해서 상대할 여력도, 흥선대원군의 강경한 쇄국 의지를 꺾을 방법도 없었다. 결국 프랑스와 미국은 강화도를 점령하고도, 목표했던 통상조약을 체결하지 못한 채 한 달여 만에 슬그머니 철수하고 말았다. 한국인의 맵고 독한 '투혼'의 뿌리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는 조선의 승리였다. 19세기 서세동점의 역사에서 서구의 대규모 원정군을 두 차례나 잇달아 물리친 경우는 아시아 전체를 통틀어도 조선이 유일했다. 신미양요 이후 철수한 미군은 적군인 백두산 범 포수를 '타이거헌터(Tiger Hunter)'라고 기록하고 그들의 용맹함과 항전의 의지를 높게 평가했다. 항복하여 무릎 꿇고 사느니 서서 싸우다가 꼿꼿하게 죽기를 원했던 백두산 범 포수들의 꺾이지 않는 투혼. 한국전쟁 이후 불과 반세기 만에 세계강국의 반열에 올라선 대한민국 국민들의 '깡과 패기'의 뿌리는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므로 21세기를 살아가는 한국인은 모두가 바로 백두산 범 포수의 투혼을 이어받은 타이거헌터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총의 울음 -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