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분권 시대의 로컬미학

ebook

By 임성원

cover image of 자치분권 시대의 로컬미학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지방'과 '지역'이 '로컬'이 되기 위해 되찾아야 하는 가치, '자치'와 '분권' 『미학, 부산을 거닐다』에서 부산문화와 부산美를 그려냈던 부산일보 임성원 기자가 두 번째 저서 『자치분권 시대의 로컬미학』을 출간했다. '로컬' 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전 세계적으로 '로컬 푸드', '로컬 페이퍼', '로컬 정부' 등 이른바 '로컬의 재발견'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한국에서 '로컬'은 어떠한가. 한국에는 로컬보다는 여전히 '지방'과 '지역'이라는 말이 배회하고 있다. 지방과 지역은 '지방소멸', '지역감정', '지역이기주의' 등 부정적이고 가치 없는 것을 뜻하는 접두사로 흔히 쓰인다. 아직 뚜렷이 나타나는 '로컬'은 보이지 않는 것이다. 저자는 『자치분권 시대의 로컬미학』에서 지방과 지역이 '로컬'로 거듭날 수 있는 방법으로 '자치'와 '분권'을 제시한다. 분권이 중앙에 빼앗긴 권리를 찾는 복권(復權)이라면, 자치는 되찾은 권리를 바탕으로 삶을 책임져 나가는 주체성의 회복이다.

자치분권 시대의 로컬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