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해를 위해서 : 교과서·위안부·야스쿠니·독도

ebook

By 박유하

cover image of 화해를 위해서 : 교과서·위안부·야스쿠니·독도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민족과 국가를 넘어서는 상상력을!" 거꾸로 가는 한일 관계2015년은 해방 70주년, 한일협정 50주년이 되는 해다. 이처럼 의미 있는 해에 개정증보판으로 나온 이 책은 정확히 10년 전, 해방 60주년, 한일협정 40주년이 되는 2005년, '한일 우정의 해'에 나왔던 책이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올해, 이 책의 개정증보판이 나온 이유는 해방 70년, 한일협정 50년임에도 한일관계는 의미가 점점 더 어렵게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그동안 쌓아왔던 화해의 분위기는 많은 부분 퇴색되고 정치인의 선정적인 발언에 휘둘려 화해는 한일 국민 간 대결과 상대방 비난으로 번질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일본의 혐한시위와 한국의 『제국의 위안부』 소송사태가 이를 단적으로 전해주는 양국의 현상이다. 이 책은 말한다. 국가와 국가, 특히 이웃 국가 간의 화해와 평화는 상대방의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화해는 무조건적인 용서와 사과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또한, 자기의 주장만을 내세우며 상대방을 꺾어야 성립되는 것도 아니다. 이는 국가뿐만 아니라 개인도 마찬가지다. 전쟁으로 획득한, 싸움으로 얻은 한쪽의 일방적인 승리는 화해도 아니고 평화도 아닌 '폭력'일 뿐이다. 상대방을 알기 위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방의 상태와 주장을 알아야 한다. 그런 후 이해하고 조정하고 공유할 부분은 증폭시켜 화해로 평화로 한걸음 나아가는 것이다. 한국 사회는 식민지 경험에 막혀, 이를 핑계로 아직 일본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 아니, 알려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평화를 원한다면 한국의 시민사회는 알아야 한다. 일본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는 얼마나 다양한 생각과 사람들이 존재하는지를.

화해를 위해서 : 교과서·위안부·야스쿠니·독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