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국어사전

ebook

By 박일환

cover image of 미친 국어사전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표준국어대사전]의 전면 개정이 시급하다!국립국어원이 편찬한 [표준국어대사전]에 대한 비판은 하루 이틀된 이야기가 아니다. 1999년에 인쇄물로 출판된 이후 지금까지 오류와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고, 이를 의식한 국립국어원 역시 분기별로 수정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국립국어원이 매년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밝히고 있는 수정 항목 수를 보면 [표준국어대사전]의 오류와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숫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예컨대 2014년도에 밝힌 수정 항목 수는 총 72개에 불과하다). 이런 식의 임시방편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앞으로 10년, 20년을 내다보면서 완전히 새롭게 편찬한다는 각오를 다지지 않으면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게 이 책 [미친 국어사전]의 핵심 주장이다. 현직 국어교사이자 시인인 저자가 상식을 기준 삼아 살펴본 [표준국어대사전]의 문제는 한마디로 심각하다. 국립기관에서 펴낸 국어사전이라면 당연히 그 나라의 언어 정책과 연구 성과가 고스란히 반영되어야 하는데, 오히려 [표준국어대사전]이 그런 성과를 갉아먹고 있다는 생각마저 들 정도이다. 저자에 따르면, [표준국어대사전]은 편찬 원칙과 기준에서부터 단추를 잘못 끼웠으며, 한자어와 외래어에 밀려 우리말이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고 있고, 뜻풀이도 불친절하기 짝이 없어서 이해하기 어려운 한편, 보통 사람들이 실생활에서 쓰고 있는 수많은 낱말들을 사전의 품안으로 끌어들이는 일에는 소홀하다. [표준국어대사전]이 지닌 이런 문제들을 두루 살펴본 독자라면 저자가 느낀 '절망감'에 충분히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총 13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짚은 문제들은 저자의 말에 따르면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사전에 실린 50만 개가 넘는 낱말들을 한 권의 책에서 모두 다룰 수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다. 그러나 이 책에서 살펴본 문제들을 일별하는 것만으로도 [표준국어대사전]의 허술함이 눈에 보일 만큼 뚜렷하게 드러난다. 우리말보다 한자어와 외래어를 더 사랑하며, 이상한 뜻풀이로도 모자라 사전에 없는 말이 수두룩하고, 신어(新語)의 수집과 정리에 있어 제대로 된 기준이나 체계를 갖고 있지 못하며, 차별과 편견을 부추기는 동시에 어설프게 백과사전을 흉내 내는 것이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의 '부끄럽고 창피한' 모습이다.

미친 국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