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의 현대적 해석

ebook

By 김 태준

cover image of 춘향전의 현대적 해석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춘향전에는 그 시대의 모든 사회층이 모두 무대에 오르는 만큼 각층 생활의 단면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거기에는 우선 간간히 보이는 물산 이름을 보아도 방(房)세간으로 「용장(龍欌), 「봉장(鳳欌)」, 「개께수리」 등속 과실 이름으로 「가리찜」, 「제육찜」, 「숭어찜」 남원에 양(梁) 진사가 있어서 과거에 급제하고 돌아와서 기생(倡侏)을 데리고 유가(游街)할 세 집이 몹시 가난하여 그 비용을 보상치 못하고. 이에 이 노래를 지어 함께 노래를 하였으니 이것이 춘향전의 고본(古本)이었다는 말이다.
춘향전의 현대적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