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 도자기 고찰

ebook

By 유종열

cover image of 이조 도자기 고찰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고려의 청자는 실로 아름다우나 그것은 송나라 때 작품에 가깝고, 또한 비색(祕色)이어서 완전히 귀족 이외에는 사용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고려의 상안(象眼)(상감象嵌)으로부터 변화하여 조선왕조에 이르러 가장 융성한 그 아름답게 새긴 백회(白繪), 쇄모목(刷毛目) 같은 것을 교묘하게 쓴 것 등은 어떤 사람에게든지 사용을 허락한 백성의 일용품이었다. 조선의 진사(辰砂)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것이다. 그것으로 자유로운 선을 표현하여 그 윤곽을 명료하게 남도록 하는 수법은 실로 교묘한 것이다. 중국의 진사의 빛깔과 조화하여 흐릿한 적색을 나타내는 것은 아주 독보적이다.<본문 중에서>

이조 도자기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