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 Distance |
---|---|
Loading... |
국내 최초로 완역되는 빅토르 위고의 희곡 작품 「천 프랑의 보상」은 위고가 영국령 채널 제도의 건지 섬(Guernsey Island)에 망명해 있을 무렵 『레 미제라블』을 완성한 후 사 년 뒤인 1866년에 집필한 것으로, 그의 소설의 주요 테마인 사회적 숙명을 다시 한 번 다루고 있다. 작품이 완성되자 오랜 공백을 깨고 나온 위고의 극작품이었기에 파리의 극단들에서는 큰 관심을 보였다. 원고 여백에 1막의 복잡한 무대 구성을 세 번에 걸쳐 스케치하고, 원고를 마친 후에도 한 달 동안 수정 작업을 한 점으로 보아 상연을 목적으로 집필한 게 분명하지만, 이 작품은 검열이 완전히 사라진 세상에서 공연하겠다는 위고의 뜻에 따라 무대에 올려지지 못했다. 당시 라 포르트 생-마르탱 극장(Theatre de la Porte Saint-Martin) 대표의 공연 제안에 대한 답신에 그의 확고한 결의가 담겨 있다. "제가 이번 겨울에 쓴 이 희곡이 상연되려면 프랑스에서 자유 보장을 위한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저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들 그 누구에게도 허용되지 않는 것이지요. 그래서 저는 상연을 연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희곡은 공연을 위해 씌어졌고, 무대연극의 관점에 맞춰 완전히 각색된 작품입니다. 예술적 관점에서 얼마든지 상연될 수 있겠지만, 검열의 관점에서는 그렇지 못합니다. 저는 기다리겠습니다. 그리고 자유가 돌아오는 날 제 희곡을 세상에 내놓겠습니다." 빅토르 위고, 1866년. 망명 생활을 끝내고 돌아온 후, 파리의 대극장들이 그의 대표작들을 무대에 다시 올리기 시작한 시기에도 그는 여전히 이 작품의 상연만큼은 거부했다. 1886년 『자유연극집』이 나올 때에도 이 작품만 포함되어 있지 않다가 1934년에야 출간되었고, 1961년 메츠 시립극장에서 위베르 지누(Hubert Gignoux)의 연출로 처음 무대에 올려졌다. 위고의 「천 프랑의 보상」에 대한 집착에 가까운 자기검열은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