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루와 보신각종

ebook

By 이중화

cover image of 종루와 보신각종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서울 한복판 종루(鐘樓)와 보신각종은 어떠한 역사적 발단이 있었나?

이 책은 《조선의 궁술(弓術)》의 저자인 국어학자 이중화의 단편 기고문으로 1934년 창간 이래 '진단학보(震檀學報)' 6호 <종루와 보신각종>을 해제한 것이다.

종루(鐘樓)는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화재 등 뜻밖의 온갖 수난을 겪은 역사적으로 가치 있는 문화재로 현재 보신각 건물은 1979년 지었으며 동서 5칸의 2층 누각으로 만들어졌다.

보물 제2호인 보신각종은 이 글 본문에서『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유사(攸司)에게 큰 종을 주조하여 도시 한가운데 종각을 만들고 종을 달았다고 한 것처럼 처음에 각(閣)을 건조했던 것을 세종 때(1450)에 층루(層樓)(누각)로 구조를 다시 구축해 그 위에 종을 달게 됨에 따라 누(樓)는 드디어 '종루(鐘樓)'라고 부르게 되었다.

따라서 동국여지승람 한성부 궁실조(宮室條)에 '鐘樓在雲從街我太祖四年建閣 世宗朝改構爲層樓 東西五間 南北四間 懸鐘鼓以警晨昏' '운종가 종루는 태조 4년에 만들어졌으며 동서 5칸, 남북 4칸에 새벽과 황혼의 주의를 알리는 종을 매달음'이라고 하였다.

현재 옛 보신각 동종(舊普信閣 銅鍾)은 보물 제2호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하고 있으며, 보신각 터(普信閣 터)는 보통 '종각'으로 호칭하는데 시도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종루와 보신각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