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 발자국

ebook

By 조은

cover image of 옆 발자국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어둠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빛의 진면모

경계에서 모순을 살아내는 벼랑의 글쓰기

아직도

작두날 같은 경계에 있다

- 「빛에 닿은 어둠처럼」 부분

올해로 시력 35년을 맞는 시인 조은의 다섯번째 시집 『옆 발자국』(문학과지성사, 2018)이 출간되었다. 섬세한 시선으로 내면에서부터 길어 올린 생의 빼곡한 비밀들을 들여다보는 시편들뿐만 아니라 깊이 있는 산문과 아름다운 동화의 작가로도 독자들에게 친숙한 조은은 매번 긴 호흡을 들여 신중하지만 꾸준하게 시집을 묶어왔다. 부재의 형식으로 현존을 그리는 죽음과 생의 포개짐(『무덤을 맴도는 이유』), 어둠과 빛이라는 상반된 세계의 기묘한 조화(『따뜻한 흙』), 죽음의 예감과 삶의 간절한 의지가 서로에게 등을 맞댄 아이러니(『생의 빛살』) 등 그간의 조은 시집을 설명하는 말은 공통적으로 '모순'이다. 어둠과 빛, 생과 죽음의 경계에 집중해온 시인에 대해 이 시집의 해설을 쓴 문학평론가 오생근은 다음과 같이 평한다.

조은은 모순의 경계를 살면서도 경계를 위반하거나 초월하는 모순을 감행하지 않고, 위험한 벼랑에서 뛰어내리거나 미끄러지지도 않는다. 그는 가능한 한 모순을 견딜 수 있을 때까지 견디고, 캄캄한 어둠 속에서 빛의 출구를 찾으려고 할 뿐이다. [......] 벼랑과 경계의 글쓰기는 그 어떤 관성이나 타성 혹은 무의미한 반복을 벗어난 시, 삶의 끝이 죽음과 맞물려 있다고 의식하면서도 결국은 죽음이 아닌 삶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발걸음 혹은 발자국의 시 쓰기이다. - 해설 「벼랑과 경계의 시」에서

『옆 발자국』에서 조은은 그간의 자신의 내면에서 찾아온 '생의 아이러니' '존재의 고통'을 자신의 주변부에서 또한 발견하고 공감하는 동시에, '지금 이 순간'이 결국 지나온 시간 속 기억과 앞으로 다가올 죽음이 맞닿는 자리에 있다는 인간 존재의 숙명을 들여다보며 삶을 더 깊게 이해해가는 여정을 담았다.

옆 발자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