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전 (한국고전소설)

ebook

By 미상

cover image of 심청전 (한국고전소설)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Libby_app_icon.svg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app-store-button-en.svg play-store-badge-en.svg
LibbyDevices.png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 목판본·필사본·활자본. 활자본 <강상련 江上蓮>(1912)은 이해조(李海朝)가 신소설로 개작한 것이다. 수십 종의 이본이 있는데 이들 중 성격이 뚜렷이 구별되는 것이 경판본(京板本)계열과 완판본(完板本)계열이다. 경판본은 판소리와 관계가 없이 설화가 소설화된 작품이며 완판본은 판소리로 불리다가 소설로 정착된 작품이다. 경판본으로는 한남서림(翰南書林)본 대영박물관 소장본 송동(宋洞)본 안성본 등이 있고 완판본은 6종이 있는데 이들은 내용은 물론 판형·장·행·자수(字數)·자위(字位)까지 동일하나 부분적인 차이를 보인다. 이들 판본의 선후관계는 한남서림본→송동본→안성본→완판본으로 추정된다. 또한 활자본인 이해조의 <강상련>은 완판본의 내용을 바탕으로 첨삭을 가하여 신소설로 개작한 것이다. 다른 활자본의 모본이 되어 그후 1915년광동서국(光東書局) 1921년대창서원(大昌書院) 등에서 <강상련>에 약간의 첨삭을 가하여 출판하였다. 이본들 중 공통 줄거리에 가장 가까운 것이 경판본계열이고 완판본계열로 가면 더 많은 내용이 첨가된다. 경판 24장본의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명나라 성화연간에 남군땅의 명유(名儒) 심현이 부인 정씨와 살았다. 혈육이 없어 걱정하였는데 신기한 꿈을 꾸고 딸 심청을 낳는다. 청이 3세가 되는 해에 정씨가 병이 들어 세상을 떠나고 심현도 질병에 걸려 안질을 앓아 맹인이 된다. 맹인 심현의 사랑을 받고 자란 심청은 7 8세부터 효성으로 아버지를 봉양한다. 13세 된 심청이 장자집의 방아를 찧어주고 늦어지자 심공이 혼자 나가다가 구렁에 빠진다. 이때 명월산 운심동 개법당의 화주승이 그를 구해주고 공양미 300석을 시주하면 장래에 부녀 영화를 보리라 한다. 이 말을 들은 심공은 전후사를 생각하지 않고 신심을 발하여 시주를 서약한다. 남몰래 고민하는 아버지의 사정을 들은 심청은 천지신명께 지성으로 빈다. 그날 밤 꿈에 나타난 노승으로부터 이야기를 들은 청은 날이 밝기를 기다린다. 과연 남경상고가 유리국 인단소에 산 사람으로 제사하려고 티없는 처녀를 사러 다닌다. 심청은 수중고혼(水中孤魂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의 외로운 넋)이 되기로 결심하고 기꺼이 몸을 팔아 백미 300석을 부처님께 바친다. 행선날에 아버지에게 사실을 알리고 떠나려 하자 심공은 통곡하며 만류한다. 이 광경을 본 상고들은 수일을 연기하여주고 백미 50석을 더 주고 떠난다. 인단소에 빠진 심청은 동해용왕의 시녀들에게 구조되어 용궁으로 인도된다. 심청은 회생약을 먹고 깨어나 자신이 전생에 초간왕의 귀녀 규성(동해용녀)이었고 아버지는 노군성이었음을 알게 된다. 또 그동안 모든 괴로움이 석가세존의 시험이었음도 알게 된다. 뿐만 아니라 자비로운 세존의 덕으로 부녀가 유리국에 나아가 지체가 높고 귀하게 되리라는 것도 듣게 된다. 큰 꽃송이 속에 들어 인단소에 떠 있던 심청은 남경상고들에 의하여 유리국 왕궁으로 가게 된다. 꽃 속에서 나온 심청은 마침내 왕후가 되어 자비와 선정을 베풀도록 왕을 돕고 아버지를 찾기 위하여 맹인잔치를 열게 한다. 맹인잔치 마지막날 말석에 앉았던 심공은 죽었던 딸을 만나고 그 딸이 왕후가 되었다는 말에 눈을 뜬다. 심공은 좌승상 임한의 딸을 맞아 재혼하니 신부의 현숙함과 심공의 희열이 비할 데 없었다. 경판본에서는 출천대효(出天大孝) 심청과 그의 아버지 심학규가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심청은 오직 눈먼 아버지에게 지극한 효성을 다하다가 인단소에 투신한다. 투신 이후에도 아버지를 만나기 위한 일념만을 보인다. 심봉사 역시 딸만을 위하여 살 뿐이며 심청의 투신 이후에도 심청만을 생각하며 초라하게 살아간다. 경판본의 작자는 작품 전체에 지극한 효성의 분위기를 자아내는 데 전력하고 있으며 심청의 죽음은 피할 수 없는 숙명으로 제시된다. 따라서 경판본은 유교적 엄숙성과 숙명론적 운명관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한편 완판본은 경판본보다 훨씬 더 많은 등장인물과 사건을 담고 있다. 완판본에는 무릉촌 장승상 부인 뺑덕어미 귀덕어미 무릉촌 태수 방아찧는 아낙네들 황봉사 안씨 맹인 등의 인물들이 더 등장한다. 이들 중 대부분은 작품의 후반부에 등장하여 심봉사를 희화화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장승상 부인은 심청에게 양녀 되기를 제안하고 또 심청의 죽음을 통한 효의 실현에 반대한다. 즉 장승상 부인은 심청이 추구하는 유교적 관념에 이의를 제기하고 현실적 해결방법을 내놓는 인물로서 기능한다. 뺑덕어미는 심청과는 정반대로 현실적이고 물질지향적인 인물로서 심봉사를 현실적이고 비속한 인물로 만드는 데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한다. 심청은 경판본이나 완판본이나 성격이 크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으나 심봉사는 두 본에서 성격이 아주 다른 인물로 나타난다. 경판본의 심봉사는 한결같이 유교적 이념에 충실한 인물인 데 반하여 완판본의 심봉사는 훨씬 세속적이고 현실주의적인 인물로 나타난다. 완판본의 심봉사는 "누세 잠영지족으로 문명이 자자"한 양반집 후예였으나 화주승에게 공양미를 시주하겠다고 할 때는 "여보시오. 어느 쇠아들놈이 부처님께 적어놓고 빈말 하겠소. 눈 뜰라다가 안진백이 되게요 사람만 업수이 여기난고 염려말고 적으시오." 하고 말하는 위인이다. 그는 또 천하의 잡녀(雜女)인 뺑덕어미와 놀아나다가 "여러 해 주린 판이라 그 중의 실낙은 있어 아모란 줄을 모르고 가산이 점점 퇴패"하는 치졸한 인물이다. 심청의 투신 이후의 심봉사에게는 투신 이전에 지녔던 위엄은 사라지고 태수 앞에서 허풍과 억지를 부리는 못난이며 방아찧는 여인네와 음담(淫談)을 즐기는 비속한 인물이다. 이러한 인물들로 인하여 완판본은 유교적 엄숙성이나 숙명론적 운명관에 지배되지 않는다. 완판본은 유교적 효를 지켜야 할 규범으로 받아들이고는 있으나 한편으로 당대 현실에 대해서 회의적이며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완판본에는 관념적 가치와 현실적 가치가 서로 갈등하며 대립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 이것은 다른 판소리계 소설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공통된 특성이다. 경판본과 완판본의 구성 양식을 비교해 보면 전자는 내용에 따라 단순 소박하고 차분하게 짜여진 양식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후자는 풍성한 내용에 따라 복잡 장황하고 들떠 있는 양식이다. 문체에 있어서는 경판본의 것이 과거의 전아한 멋을 지닌 간결 소박한 산문체인 데 비하여 완판본의 것은 풍부한 형용사나 감탄사는 물론 삽입가요·잔사설·고사성어·한시 등을 끌어들여 부연하고 윤색된 율문체이다. <심청전>은 그 형성적 측면에서 설화소설이기에 일찍부터 근원설화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심청전>의 근원설화에 대하여 최초로 거론한 이는 김태준(金台俊)이다. 그는 인도의 <전동자 專童子>·<묘법동자전설 妙法童子傳說> 일본의 <소야희 小夜姬>를 말하고 우리나라의 ≪삼국사기≫·≪삼국유사≫ 소재 <효녀지은설화 孝女知恩說話> 전라남도의 <관음사연기설화 觀音寺緣起說話>등을 들었다. 그는 또 ≪삼국유사≫의 <거타지설화 居陀知說話>와 <적성의전 翟成義傳>·<양풍운전 楊豊雲傳>의 개안설화(開眼說話)를 그 관계설화로 들었다. 그 뒤 장덕순(張德順)은 근원설화로 인신공희설화(人身供犧說話)와 효행설화(孝行說話)를 들고 이 중 전자가 주류를 이룬다고 말하였다. 이 밖에 오구굿계 <황천무가 黃泉巫歌>와 강릉 단오제 동해안지방의 별신굿에서 불려지는 <심청굿무가>와 관련지어 무가기원설(巫歌起源說)을 제기하는 학자들도 있다. 한편 사재동(史在東)은 불전설화(佛典說話)에 입각하여 목련구모담(目連救母譚)·성녀구모담(聖女救母譚)·인욕태자구부담(忍辱太子救父譚)·자동녀양모담(慈童女養母譚) 등을 효자불공구친설화(孝子佛供救親說話)라 명명하여 <심청전>의 근원설화로 보았다. <심청전>의...

심청전 (한국고전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