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ebook

By 원일

cover image of 금강경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금강경 원문 및 해설 입니다. 불교경전.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널리 유통되고 신봉되었던 대표적인 불경. ≪금강반야경 金剛般若經≫·≪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이라고도 합니다. 이 경전의 범어 원전의 사본은 티베트·중국·한국·일본에 전하고 있으며 한역본은 402년에 요진의 구마라습이 번역한 것 외에 7종이 있다. 선종에서도 중국선종의 제5조인 홍인(弘忍) 이래 특히 중요시되었고 제6조 혜능(慧能)은 이 경문을 듣고 발심(發心)하여 출가하였다고 합니다. 이 경은 공한 지혜[空慧]로써 그 근본을 삼고 일체법무아(一切法無我)의 이치를 요지로 삼았다. 공의 사상을 설명하면서도 경전 중에서 공이라는 말이 한마디도 쓰여지지 않은 것이 특징이며 대승과 소승이라는 두 관념의 대립이 성립되기 이전에 만들어진 과도기적인 경전이라는 데서 더 큰 의미를 가집니다. 경의 해석과 이해를 위해서 인도의 무착(無着)은 18주위(十八住位)로 과판(科判)하였고 천친(天親)은 37단의(三十七斷疑)로 중국 양나라의 소명태자(昭明太子)는 32분(三十二分)으로 나누었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소명태자의 분류를 따르고 있다. 32분 중 이 경의 중심사상을 담고 있는 분은 제3·4·5·7·10·18·23·26·32분입니다. 제3의 <대승정종분 大乘正宗分>에서는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되 내가 저들을 제도하였다는 관념이 없어야 하고 아상(我相)·인상(人相)·중생상(衆生相)·수자상(壽者相)의 4상이 있는 이는 보살이 아니라 하였다. 제4의 <묘행무주분 妙行無住分>에서는 집착함이 없이 베푸는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를 하도록 하는 가르침을 알 수 있습니다. 제5의 <여리실견분 如理實見分>에서는 32상을 갖춘 부처의 육신이 영원한 진리의 몸인 법신(法身)이 아님을 밝히고 참된 불신(佛身)은 무상(無相)이라고 설한다. 특히 "무릇 있는 바 상은 모두가 허망한 것이니 만약 모든 상이 상 아님을 보면 곧 여래를 보리라."고 한 유명한 사구게(四句偈)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제7의 <무애무설분 無碍無說分>에서는 부처의 설한 바 법이 취하거나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닐 뿐 아니라 법도 아니요 법 아닌 것도 아니라 하여 여래의 설법에 대한 집착을 끊게 하였다. 제10의 <장엄정토분 莊嚴淨土分>에서는 청정한 마음으로 외적인 대상에 집착함이 없이 '마땅히 머무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낼 것(應無所住而生其心)'을 가르친다. 이는 혜능 및 여러 고승들을 깨닫게 한 유명한 구절입니다. 제18의 <일체동관분 一切同觀分>에서는 부처가 모든 중생의 차별적인 마음의 움직임을 모두 알고 있음과 과거·현재·미래의 마음은 가히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밝혔다. 제23의 <정심행선분 淨心行善分>에서는 진여법(眞如法)이 평등하여 아래위가 없는 것이 온전한 깨달음이며 여래의 선법(善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제26의 <법신비상분 法身非相分>에서는 여래를 형체에 얽매어 보지 말 것과 "만약 형색으로 나를 보고 음성으로써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함이니 결코 여래를 보지 못한다."는 사구게를 설하고 있다. 제32의 <응화비진분 應化非眞分>에서는 일체의 유위법(有爲法)이 꿈·환영·물거품·그림자와 같고 이슬이나 우뢰와 같음을 관해야 한다고 합니다.

  • [네이버지식백과 참조]
  • 금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