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홍련전

ebook 한국문학30선

By 작자미상

cover image of 장화홍련전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필사본•목판본•활자본이 모두 전하며, 이들을 표기문자에 따라 다시 한글본, 한문본, 국한문본으로 나눌 수 있다. 한글본은 효종연간에 전동흘(全東屹)이 평안도 철산부사로 가서, 배좌수의 딸 장화(薔花)와 홍련(紅蓮)이 계모의 흉계로 원통하게 죽은 사건을 처리한 사실담(事實談)을 소재로 하여 쓴 한문본을 대본으로 하여 썼다.

한문본은 전동흘의 6대손 만택(萬宅)의 간청에 의하여 박인수(朴仁壽)가 1818년(순조 18) 12월 1일에 쓴 것이다. 이 한문본은 전동흘의 8대손 기락(基洛) 등이 1865년(고종 2)에 편찬한 ≪가재사실록 嘉齋事實錄≫과 ≪가재공실록 嘉齋公實錄≫(全庸甲, 1968)에 실려 있고, 국한문본은 ≪광국장군전동흘실기 光國將軍全東屹實記≫에 전한다.

한글 필사본은 신암본(薪菴本)과 의산본이 있으며, 한글 목판본은 자암본(紫岩本)•송동본(宋洞本)•불란서동양어학교본(佛蘭西東洋語學校本) 등이 있다. 구활자본(딱지본)은 13종이나 되는데, 특징에 따라 세창본(世昌本, 1915년)•영창본(永昌本, 1915년)을 비롯하여 동명본(同明本, 1915년) 계열로 나뉜다.

이 작품은 공안류소설(公案類小說)인 동시에 가정형계모소설(家庭型繼母小說)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장화홍련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