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 Distance |
---|---|
Loading... |
"이 책을 읽고 나면 도시의 작동 원리가
완전히 다르게 보일 것이다" 당신이 살고 있는 공간의 비밀을 밝힌다
사회와 문명을 투시하는 공학적 인문학의 향연 지금 우리나라에선 국민의 절반 이상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향후 10명 중 7명이 아파트로 이사할 계획이라 밝혔으니 이 비율은 앞으로도 줄어들 가능성은 적다. (국토교통부 '2019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 과연 아파트는 한국 주거 형태의 명실상부한 대세가 된 것이다. 우리는 아파트와 함께 2020년대를 맞이하고 있다. 10여 년간 전 세계를 누비면서 터널과 교량, 댐과 항만, 그리고 지하철을 지어온 건설 엔지니어 양동신은 말한다. 아파트를 둘러싼 이 같은 부정적인 인식과 사회적인 시선은 굉장한 편견이자 고정관념이며, 아파트라는 공동주택 건축물은 생각보다 우리에게 훨씬 더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우리는 이 건축 구조물에 관해서 훨씬 더 깊이 성찰할 필요가 있다고. 『아파트가 어때서』는 아파트라는 거주 형태를 통하여, 우리가 문명과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을 혁신적으로 뒤바꾼다. 우리 사회에서 '아파트'란, 한 사회의 인프라에 관한 대중적인 편견과 몰지각을 깨고 우리가 '토건 사업'에 관해 손쉽게 규정하고 비판하는 어떤 분위기를 진지하게 환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것이 우리가 아파트에 주목해야 할 이유다. 목차
제1부 겨울왕국에 정말로 댐이 사라진다면 1. 겨울왕국, 노르웨이, 그리고 대한민국의 댐
2. 강원도 산불을 바라본 어느 토목 엔지니어의 생각
3. 알프스산맥의 환경 보전을 위해 스위스 사람들은
4. '연트럴파크'가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들
5. 콘크리트, 현대 문명의 아낌없이 주는 나무
6. 보도블록을 위한 변명
7. 싱가포르의 수자원 이야기
8. 한강의 '월드컵대교'는 어느 월드컵을 기념하나
9. 공학이란 무엇이고, 무엇이어야 하는가 제2부 인공적인 것은 아름답다 1. 크루거 국립공원 이야기
2. 백운호수를 거닐며
3. 강화도는 어떻게 지금의 강화도가 되었나
4. 조선의 신도시, 수원 화성
5. 항구의 낭만, 방파제의 낭만
6. 미세먼지에 관한 어떤 오해
7. 제주도의 '개발'에 관하여
8. 국가의 탄생, 조용한 혁명
9. 자연, 그리고 인공에 대하여 제3부 도시란 우리에게 무엇인가 1. 덕선이네 집은 어디 있는가
2. 아파트가 어때서
3. 서울의 출근길 단상
4. 남들이 걷는 도시, 내가 살고 싶은 도시
5. 주택보급률 100% 시대, 공급은 이제 필요 없을까
6. 선분양과 후분양 제도에 대하여
7. 안양천을 걸으면서
8. 입체적이고도 빛나는 도시를 만들기 위하여
9. 홍콩 기행 제4부 보이지 않는 것들의 힘 1. 하이바를 집어 던지고
2. 하이바를 뛰어넘어서
3. 신뢰사회
4. 노동의 가치, 그리고 경쟁
5.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에는 어떤 기술이 필요할까
6.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
7. 내가 누리는 것과 누리지 못하는 것
8. 세대론에 대한 단상
9. 통일이 꼭 대박은 아니겠지만 저자: 양동신
제주도에서 유년 시절을 보내고, 인천에서 중고등학교를 다녔다. 공학은 서울에서 접하기 시작했으며, 일은 처음 오스트레일리아의 어느 햄버거 가게에서 시작했다. 건설 회사에 입사해선 통영, 부천을 거치며 냉혹한 현실과 마주쳤다. 이후 십여 년간 중동, 유럽, 아프리카, 서남아, 동남아 등을 고루 다니며 지하철, 발전소, 해저터널, 육해상교량 등의 인프라 프로젝트 건설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