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ebook 60. 한국의 고전 수필 2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By 한국어읽기연구회

cover image of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Download Libby on the App Store Download Libby on Google Play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ibrary Name Distance
Loading...

이 책에는 한국의 고전 수필 일곱 편을 모았다. 수필이란 작가가 자신의 생각, 경험, 감정 등을 자유롭게 쓴 글이다. 여기에 모은 고전 수필에도 작가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신산종수기>는 아내를 잃은 작가의 슬픔이 잘 나타난 글이다. 새집에서 아내와 살려던 꿈은 아내의 죽음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작가는 죽은 후에라도 꿈을 이루겠다고 말한다.

<축병문>은 병든 사람이 병과 나누는 대화를 담고 있다. 사람들은 병 때문에 괴롭다고만 생각한다. 하지만 작가는 병의 원인이 사람 자신이며 병은 오히려 사람을 도와준다고 말한다.

<노의불맹랑살인론>은 좋은 의사를 판단하는 것에 관한 글이다. 말 잘하고 아는 척만 하는 의사는 좋은 의사가 아니다. 작가는 좋은 의사란 많은 병을 고쳐 본 의사라고 말한다.

<창맹설>은 지나친 욕심이 불행을 가져오는 것을 보여 준다. 작가는 도둑질을 예로 든다. 그리고 선비도 당연히 욕심을 버려야 한다고 말한다.

<타농설>은 게으른 농부와 부지런한 농부에 관한 글이다. 부지런한 농부는 아무리 힘들어도 희망을 갖고 끝까지 노력한다. 작가는 선비들이 부지런한 농부의 태도를 배워야 한다고 말한다.

<기우설>은 소를 타고 경치를 구경하는 것에 관한 글이다. 작가는 지나치게 빠르면 제대로 보기 어렵다고 말한다. 빠른 것만 좋아하는 현대인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글이다.

<일야구도하기>는 하룻밤에 큰 강을 아홉 번 건넌 후 느낀 점을 쓴 글이다. 작가는 보고 듣는 것만 너무 믿으면 올바른 판단을 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